[사설] 도시 재생, 지역맞춤 방식으로 추진해야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4-10-18   |  발행일 2014-10-18 제23면   |  수정 2014-10-18

도시지역인 전국 144개 시·구 중 96곳이 도시쇠퇴 징후를 보이고 있거나, 도시쇠퇴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도시쇠퇴 지역은 기반시설 부족 등 주거환경적 문제와 실업·홀몸어르신·보육·건강·교육·범죄 등 사회·경제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부 조사 결과는 도시정비와 도시재생의 필요성을 일깨우며, 또 도시정비를 어떤 방식으로 추진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도 제시한다.

실제 도시재생의 성과에 따라 그 지역의 경쟁력과 경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복지·교육·문화 혜택까지 달라진다. 영남일보의 기획 시리즈 ‘대구 도시재생, 이제부터 시작이다’도 최적의 도시재생을 통해 대구의 모습을 바꾸고, 주민들의 주거환경과 삶의 질 개선에 일조하기 위함이다.

그동안의 도시정비 사업은 민간조합이 사업 주체가 돼 개발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된 게 대부분이다. 보존과 재생보다는 전면철거 방식을 선호하다보니 그 지역의 역사적 정체성과 문화자산을 훼손하는 것은 물론, 주택경기의 부침(浮沈)에 따라 사업이 중단되는 등 부작용이 작지 않았다. 그러나 세계적 도시정비의 패러다임은 대규모 전면철거 방식에서 벗어난 지 오래다. 보존과 개발의 조화, 문화적 가치 창출, 공동체정신 함양, 경쟁력 강화 같은 지향점을 두고 지역 특성에 맞게 도시재생을 추진하는 추세다.

정부의 도시정비 방침도 이미 지역 중심, 개별사업 중심으로 바뀌었다. 대구시도 지난해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수정하고, 도시재생전략을 새로 마련했다. 도시재생을 통해 △도시경쟁력 강화 △지역의 역사적 상징성 표출 △기초기반시설 및 복지인프라 공급 △다양한 문화적 활동 등을 추구한다는 복안이다.

서울시의 도시재생 정책도 참고할 만하다. 서울시는 종전 개발 위주로 진행하려던 원도심 정비계획을 지역별 맞춤형 재생 방식으로 전면 수정하면서 오히려 보존에 방점을 찍었다. 대구 중구 근대골목의 경우 역사적 가치가 재조명되기 전에 대규모 개발이 진행됐다면 지금 관광명소가 된 문화자산이 어떤 운명을 맞았을지 예단하기 어렵다. 지역 맞춤형 도시재생은 맥을 제대로만 짚는다면 지역의 문화적 가치 창출과 함께 경쟁력도 얻는 성과를 이룰 수 있다고 본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