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적자…公共체육시설의 해답은 ‘시민과의 스킨십’

  • 이창남 손동욱
  • |
  • 입력 2014-12-20   |  발행일 2014-12-20 제5면   |  수정 2014-12-20
20141220
지난 18일 대구시 동구 강동문화체육센터에서 시민들이 조를 이뤄 탁구 시합을 하고 있다. 손동욱기자 dingdong@yeongnam.com

 

대구스타디움 年30억 적자
대구FC 2부리그 강등 후
올 평균 관중 고작 1085명
지리적 접근성도 큰 문제

중구 체육시설 아예 없어
달성 21·달서 11개와 대조
시민 중심의 성서운동장
대구 전역에서 찾을 정도

“공공체육시설을 시민의 품으로!”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7월1일 취임 직후 체육인들과의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권 시장은 지역 내 유명무실한 공공체육시설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당시 그는 “지역에 산재한 공공체육시설이 어디에 있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떻게 하면 이용할 수 있는지 제대로 알고 있는 시민은 드물다”면서 “체육시설 지도 제작을 통해 스포츠 종목별로 시민들의 참여율을 높이면 시민 행복지수도 높아질 것”이라고 제안했다.

대구시는 체육진흥과를 중심으로 권 시장의 지시를 이행하기 위해 8개 구·군 지자체와 공동으로 체육시설 현황을 파악했다. 이를 바탕으로 시설 정보가 담긴 책자 및 지도 제작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 프로젝트를 마무리하면 대구시는 그 결과물을 지역 각 구·군 주민센터와 공공기관에 배포해 시민들이 공공체육시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물론 체육시설에 대한 정보를 집대성해 하나의 플랫폼을 통하여 시민들에게 개방하고 이용률을 끌어올리자는 취지는 옳다.

하지만 현재까지 지역에 있는 이들 시설이 왜 시민들로부터 외면받았는지, 시민들이 제대로 이용할 수 없었던 근본적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진단과 처방이 나와있지 않은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지역 공공체육시설 운영 낙제점

대구경북연구원은 지난해 12월 ‘공공체육시설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목으로 하는 연구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에 있는 공공체육시설은 거의 대부분 적자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고 운영 방식과 관리도 주먹구구식이라 혈세 먹는 애물단지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2012년 기준 문화체육관광부가 집계한 전국의 월드컵경기장 경영수지 분석 결과를 보면, 건축비와 감가상각비까지 고려할 때 흑자를 기록한 곳은 서울 상암 월드컵경기장이 유일했다.

대구·경북으로 좁혀보면 대구스타디움은 이미 시민의 혈세를 스펀지처럼 빨아들이는 골칫덩이로 전락했다. 2002 한일월드컵을 앞두고 신축된 대구스타디움은 개장 첫해 2002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 33억원의 적자(총 397억원)를 세금으로 메우고 있다. 지난해 총수입(대구FC의 입장료, 대관료 수익 등)은 지출액의 10%도 되지 않는 4억원에 그쳤다. 반면 경기장 개·보수비와 인건비 등 대구시설관리공단에 들어가는 혈세는 40억원이나 됐다.

이렇게 적자가 나는 원인은 지나치게 큰 규모에 있다. 대구스타디움은 20개 구장 가운데 관람석 규모(최대 6만6422명 수용)가 셋째로 넓다. 대구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대구FC는 지난해 2부 리그인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면서 올해 평균 관중이 1천85명(10경기)에 그쳤다. 지리적 접근성도 문제다. 2㎞ 가까이 떨어진 인근 지하철역(대공원역)에서 내린 후 20분 넘게 걸어가거나 3개 노선밖에 없는 버스를 타야 한다.

2011년 민자로 지어진 복합문화쇼핑시설 ‘대구스타디움몰’은 스타디움을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지난 7월 기준 전체 171개 점포 중 70개가 미분양(40.9%)일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다. 권 시장과 간담회에 나선 생활체육 지도자들은 “축구 경기가 없는 평상시 시민들에게 스타디움을 개방해 줄 것”을 강력하게 건의한 바 있다. 그러나 스타디움을 관리하는 대구시설관리공단 측은 이용보다는 단순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보니 생활체육인들의 이런 요구를 제대로 수용하지 않고 있다. 심지어 축구를 활성화시키고자 일부 팬들을 중심으로 스타디움 인근에 대구FC를 홍보하는 플래카드를 걸어놨지만 공단 측은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철거하면서 축구인들의 반발을 산 적도 있다.

◆체육 인구 느는데… 대책 게걸음

대구시생활체육회가 자체 추산한 지역 내 생활체육 인구는 130만여명에 달한다. 250만 인구의 51.2%로, 전국 평균(44%)보다 높은 수치다. 그만큼 지역에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수요가 높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시민들이 향유할 수 있는 공공체육시설과 운영 주체의 수준은 수요자의 눈높이를 따라주지 못하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구시 공공체육시설 운영, 전문화로 거듭나자’는 제목의 대경 CEO브리핑을 보면 답이 나온다. 무엇보다 낮은 수익성으로 인해 경쟁적 입찰시장이 형성되지 못하다 보니 일부 체육단체가 독점해 단독 입찰하는 것이 관행적인 행태로 자리 잡았다.

지역 간 불균형도 개선 과제다. 유독 중구에만 체육시설이 하나도 없다. 도심지 특성상 땅값이 비싼 것도 이유겠지만, 중구 주민들의 경우 중구에 산다는 이유만으로 체육시설 이용에 따른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는 것이다. 달성군(21개)과 달서구(11개), 북구(19개), 수성구(11개) 등과 비교하면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시민 중심 운영 마인드 확립 시급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 실적이 우수한 전국의 공공체육시설에 대해 해마다 성과 평가를 통해 시상을 해왔지만 대구의 경우 성서운동장이 유일하게 선정됐다.

성서운동장의 성공 비결은 시민들의 요구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철저한 성과 위주의 경영 방식 도입에 있다. 위탁 운영을 맡은 시생활체육회는 성서운동장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장기 전략을 세웠다.

또 이를 체육과 경영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생활체육지도사들이 제대로 이해하고 현장 업무에 적용시켰다. 위탁 평가제도를 도입해 체육시설 운영 주체가 보여준 방만하고 소극적인 행태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점도 장점이다.

시설 운영을 투명하게 한 결과 그 효과는 곧바로 나타났다. 성서운동장을 찾는 시민은 달서구를 넘어 대구시 전역으로 범위가 넓어졌다. 또 인근 성주군 등 경북지역에서도 발걸음이 끊이지 않게 됐다.

이처럼 시민 건강과 행복을 위해 지어진 체육시설이 본래 취지에 맞게 운영되기 위해선 운영 주체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운영 방식을 민주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그 대안으로 대구경북연구원이 제안한 ‘체육시설 시설운영위원회’가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창남기자 argus61@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스포츠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