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새 시대> ④ "안동·예천 뜬다" 부푼 기대 인구 유입으로 경제 활성화…도약 계기 마련

  • 입력 2016-02-10 09:34  |  수정 2016-02-10 09:34  |  발행일 2016-02-10 제1면

 "드디어 도청이 온다."
 오는 12일 경북도청 이전을 앞두고 안동과 예천 곳곳에는 이를 환영하는 현수막들이 들어섰다.


 안동과 예천을 통과하는 중앙고속도로 IC, 주요 사거리, 시내 교차로 등에도 신도청 시대를 알리는 홍보탑이 있고 애드벌룬이 떠 있다.
 2008년 6월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가 신도청 예정지로 결정되고 나서 7년여 만에 도청이 오는 것을 환영하는 것이다.
 지난해 말까지만 하더라도 도청 이전이 경북 북부에 '득이 될지, 독이 될지' 누구도 장담하지 못하는 상황이었으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
 도청 이전이 눈앞에 다가온 만큼 부정적 측면을 걱정하기보다는 잔치 분위기에서 신도청 시대를 맞이하자는 의견이 대세이다.
 주민들은 도청이 이사를 시작하는 12일부터 끝나는 21일까지 도청이전을 축하하는 행사를 잇따라 여는 등 축제 분위기를 이어갈 계획이다.
 주민들은 도청이전이 낙후한 북부지역에 새로운 발전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인구 유입으로 새로운 발전 계기
 균형발전 차원에서 추진한 경북도청 이전에 따른 열매로는 무엇보다 인구 증가가 꼽힌다.
 안동시와 예천군은 도청신도시 조성을 완료하는 2027년이 되면 신도시 인구 10만명을 포함해 안동·예천 인구는 3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1975년 말 26만명과 14만명을 넘던 안동과 예천 인구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16만9천여명과 4만명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안동 인구는 도청 이전을 결정한 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9년 증가세로 돌아서고 나서 2010년에는 450명이 늘었다. 그 뒤 해마다 100명 이상 증가했다. 도청 이전을 눈앞에 둔 지난해에는 2014년 보다 524명이 늘었다.


 신도시 주거기능이 집중된 예천은 안동보다 인구 증가에 대한 기대가 더 크다.

 최근 50년 해마다 인구가 준 예천군은 도청과 관계기관이 오면 전입하는 가구가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신도시 아파트 790여가구 입주가 끝나고 내년 하반기 3천700여가구의 아파트 입주가 시작하면 50년만에 처음으로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
 안동시와 예천군은 도청 이전으로 새로 이주하는 사람 대부분이 어느 정도 경제력을 갖춘 공무원이고 젊은층이 많은 만큼 경제활동도 늘어날 것으로 본다.

 ◇ 균형 발전에 새로운 축 형성
 경북도는 도청을 이전한 신도에서 지역 균형발전에 본격 나선다.
 지금까지 남동부에 기울어져 있던 개발의 축이 북쪽인 신도시에도 생기는 만큼 이를 최대한 활용하려는 계획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동시와 예천군은 신도시 이전 효과를 극대로 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시·군은 각각 기존 도심과 도청 신도시를 연결하는 시내버스 노선을 확대해 이전 초기 신도시 주변 주민 불편을 덜기로 했다. 초기 입주민들이 불편이 없어야 계속해 인구가 늘어난다고 판단해서다.
 안동시와 예천군은 시내버스 노선을 늘이고 두 도시를 오가는 시내버스 무료 환승제도 시행하기로 했다.
 도는 신도청을 중심으로 생기는 안동과 예천 문화·행정 축이 구미 전자산업, 포항 철강산업 축과 조화를 이루며 경북 성장을 이끌 것으로 판단한다.

 또 경북 균형발전을 토대로 해 세종시 등과 국토균형발전, 동서발전의 새로운 축을 만든다는 '야심 찬' 계획도 세웠다.


 ◇ 도청 이전 역효과?…기존 도심 공동화 우려
 도청 신도시는 안동시와 예천군 중심지에서 보면 외곽에 있다.
 신도시 지리적 위치 때문에 도청 이전이 반갑지만 않은 사람들도 있다. 안동과 예천시내에서 생업을 이어오는 상당수 자영업자다.
 이들은 도청 이전으로 생계 수단을 잃을 수 있다는 걱정을 하기도 한다.
 도청 신도시가 자리를 잡으면 안동과 예천 도심은 '공동화 할 것이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들은 일정한 경제력을 갖춘 공무원들이 신도시에 살게 되는 만큼 경제생활 중심이 기존 도심에서 신도시로 옮겨갈 것으로 추측한다.
 안동에는 옥동과 삼산동, 정하동 등 3개 권역으로 나뉜 주요 상업지구가 신도시경제권과 경쟁하다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의견이 많이 나온다.

 안동과 예천에서는 기존 상업지역이 경제 중심지가 신도시 쪽으로 옮겨가면 생각하지도 않은 피해를 볼 수 있다고 대책 마련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안동시는 2014년 도시재생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중구동 등 원도심을 대상으로 정주환경 개선을 하고 있다.
 또 도시공간재창조 프로젝트로 도심과 낙동강을 연결하는 사업, 한옥마을 조성사업 등도 추진하고 있다.
 예천군도 도청 이전을 앞두고 도심 공동화 현상을 막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예천읍 도심 제주복집∼학원사 560m에 형성된 음식상가를 명품특화거리로 바꾸는 '맛고을 문화의거리' 조성에 나섰다.

 군은 62억여원을 들여 상징문을 만들고 도시가스 배관, 전선·통신선 등을 정비하는 한편 벽화거리, 무대, 분수 등을 갖춘 문화공간과 주차장 등 편의시설도 설치한다.
 김현승 안동시 신도청미래사업단장은 "경북과 예천, 안동이 상생 발전하고, 웅도 경북 새천년 도읍의 위상에 맞는 품격과 풍요를 모든 f도민이 누릴 수 있게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