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프캐럴 폐쇄성, 인근주민 불안감 부채질

  • 마준영 조규덕
  • |
  • 입력 2016-05-23   |  발행일 2016-05-23 제12면   |  수정 2016-05-23
(왜관 미군부대)
외부노출 꺼려 철저 차단
폭발사고 원인 규명‘막막’
피해주민 보상 기준 미정
캠프캐럴 폐쇄성, 인근주민 불안감 부채질
22일 오후 칠곡군 왜관읍 미군부대 캠프캐럴 후문에서 보안요원이 출입차량의 운전자 신원을 확인하고 있다.

조규덕기자 kdcho@yeongnam.com

[칠곡] 지난 19일 칠곡군 왜관읍 미군부대 캠프캐럴에서 발생한 대형 가스 폭발사고(영남일보 5월20일자 7면 보도)를 둘러싼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지만, 원인 규명에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또 폭발사고 당시 피해를 입은 인근 주민들에 대한 보상절차 진행은 물론 기준조차 아직까지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사고수습에 따른 어려움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안에서 일 벌어져도 접근 불가

22일 칠곡소방서 등에 따르면 현재 캠프캐럴 의료용 보급창고 폭발 사고에 대한 조사는 전적으로 미군 측 주도로 진행되고 있다.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에 따라 조사권이 국내 관련 기관의 권한 밖에 있기 때문이다.

폭발 사고 당시 소방차 18대와 소방인력을 동원해 진화작업을 벌였던 칠곡소방서도 폭발 원인 조사에는 직접 나서지 못하고 있다. 칠곡소방서 관계자는 “캠프캐럴이 군사시설인 데다 치외법권 지역이기 때문에 미군의 동의가 없을 경우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다”며 “현재로서는 미군의 통보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마저도 우리 측에 통보를 해줄 의무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미군 측은 폭발 사고 당시에도 외부인사의 출입을 철저히 통제했다. 화재가 나자 캠프캐럴은 부대 내 자체 소방대를 출동시켰지만 조기 진화가 어렵다고 판단해 칠곡소방서에 지원요청을 했다. 당시 캠프캐럴은 진화인력만 출입이 가능하다고 칠곡소방서 측에 통보했고, 결국 안태현 칠곡소방서장도 소방차에 올라 부대로 진입한 후 현장을 지휘할 수밖에 없었다. 칠곡군의 행정·치안 책임자들도 출입이 제한돼 담장 너머에서 상황을 지켜봐야만 했다.

◆주민들 제대로 된 조치 요구

영내에서 크고 작은 일이 발생해도 외부 노출을 극도로 꺼리는 캠프캐럴의 이 같은 폐쇄성은 인근 거주 주민들의 불안감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가스 폭발사고로 직·간접적 피해를 입은 석전3리 주민들은 “또 다른 사고가 발생해 부대 밖으로 불길이 번지기라도 하면 어떡하느냐”며 “사고 조사는 주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공정한 절차로 진행돼야 하고, 담장 근처의 위험 시설물도 마을과 떨어진 곳으로 옮기는 등의 조치를 반드시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석전3리 주민들은 폭발사고가 발생한 캠프캐럴 의료용 보급창고와 담장 하나를 두고 생활하고 있다. 사격훈련 등으로 인한 소음피해는 물론 이번 가스 폭발사고 당시 파편이 마을로 날아들어 비닐하우스와 채소밭이 불에 타는 등 직접적 피해를 입었다.

앞서 한반도 사드 배치 문제로 반발여론이 잠재돼 있는 상황에서 이번 가스 폭발사고가 조기 수습되지 않을 경우 미군부대 주둔에 따른 지역민의 반발도 재점화될 가능성이 높다. 왜관읍 석전리 한 주민은 “2011년 캠프캐럴의 고엽제 매립 의혹 파문 당시 왜관이 고엽제로 암 발생이 높은 지역이라는 오명을 뒤집어 써 온 마을이 쑥대밭이 됐다”며 “지금까지 미군 관련 범죄 등 끊임없이 문제가 발생해도 오직 나라를 위해 참아왔지만 앞으로는 마냥 당하고만 있지는 않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주한미군의 병참부대로 1960년 5월부터 왜관에 주둔하고 있는 캠프캐럴의 상주 인원은 4천600여명에 이른다. 미군이 약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 민간인, 한국인 직원, 카투사(KATUSA) 등이 근무하고 있다. 주둔 부대는 주한미군 군수물자센터, 제2보병사단 지원여단, 6병기 대대 등이 있다.

마준영기자 mj3407@yeongnam.com

조규덕기자 kdcho@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