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경북 연안의 체계적 발전방향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6-08-30   |  발행일 2016-08-30 제12면   |  수정 2016-08-30
[기고] 경북 연안의 체계적 발전방향
권영길 (경북도 동해안 발전본부장)

경북도의 육지부 해안선은 약 443㎞이고, 이 중 자연해안선 비율은 58.6%로 전국 자연해안선 비율인 48.6%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북연안에서 보전해야 할 자연해안선이 아직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최근 연안에서의 산업, 항만, 주거단지 확충을 위한 대규모 매립사업, 연안항만시설 및 연안친수시설 개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규모 또한 방대해져 이로 인한 해안선의 변화와 더불어 연안 자연환경의 심각한 변화가 야기되고 잇다.

또 댐, 보, 하구언 등과 같은 하천 수자원의 개발로 인한 자연토사 공급 감소 및 건설·산업자재로 활용하기 위한 해사·규사 채취 등으로 지속적인 모래량 감소도 발생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너울성 파랑이나 이상 파랑의 내습 빈도 및 강도가 심화돼 연안의 침식은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2013년 발표된 유엔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의 5차 보고서에 따르면 21세기 말 해수면은 45∼82㎝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4차 보고서(2007년 2월)에서 발표한 최대 59㎝보다 23㎝ 증가한 것이다. 이처럼 기후변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은 국제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해수면 상승은 해안후퇴를 가속화시켜 최종적으로는 침수범람 위험을 가중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경북도는 중앙정부와 같이 연안침식 문제를 정량적으로 판단하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조사를 통한 침식방지 대책을 수립하고자 연안관리법 제23조에 의거해 연안정비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연안침식은 단순히 구조물을 설치한다고 해서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없다고 본다. 가까운 일본을 보면 이미 1956년 해안법을 제정하고 연안침식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자해 구조물을 설치했지만, 2차 침식으로 대부분 실패했다.

이에 일본은 1999년 방호, 환경, 이용 3가지 목적으로 나눠 연안정비 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골자로 해안법을 개정했다. 과거 설치된 구조물을 철거하고, 연안의 모래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토사관리정책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미국도 연안정비 사업으로 구조물을 설치하기보다 친환경 공법인 양빈을 70% 이상 실시하고 있다.

국내 제1의 해수욕장인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은 과거 백사장 복원을 위해 약 475억원의 예산을 투자해 대규모 연안정비사업을 진행했다. 백사장 복원을 위해 2차에 걸쳐 양빈을 실시, 성공적으로 연안정비사업을 마무리한 바 있다.

경북도 역시 연안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협력해 연안정비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제1차 연안정비사업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시행되어 28개소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2010년 시작한 제2차 연안정비사업은 2019년까지 총사업비 4천146억원을 투입해 양빈, 친수공간 조성, 연안보전 사업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경북은 연안침식 모니터링 대상지역을 선정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자료 축적으로 경북만의 특화된 연안관리 패러다임 구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획/특집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