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성] 한국의 청년실업률

  • 마창훈
  • |
  • 입력 2017-02-15   |  발행일 2017-02-15 제31면   |  수정 2017-02-15

한국의 청년실업률이 미국을 앞질렀다고 한다. 뉴스전문 방송매체가 전한 이 소식에 ‘국내 청년실업률의 심각성을 비교하는 대상이 왜 하필 미국일까’라는 궁금증이 발동했다.

보도의 맥락을 곰곰이 되짚어보면 어떤 분야든 미국을 앞서는 것이 좋다는 취지는 아니다. 그렇다면 ‘미국 우선주의(America Frist)’를 외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미국 내 투자기업 증가로 취업률이 상승했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을까? 아니다. 기자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국내 고용시장의 현황을 청년실업률이 높은 미국을 단순 비교대상으로 삼아 시청자가 알아듣기 쉽게 전하고 싶었을 뿐이다.

아쉬운 대목은 청년실업률이 증가한 원인이나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다루지 않았다는 점이다. 보도내용 역시 최근 몇년간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실업률이 꾸준히 증가한 우리나라의 위기 상황을 전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청년실업은 특정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안이 아니기에 한정된 시간에 ‘이러쿵 저러쿵’ 많은 이야기를 논리정연하게 풀어내기란 쉽지 않다. 이를 감안하면 본질보다 현상에 집중한 취재형식이 탁월한 선택으로 여겨진다. 콕 집어 “이것 때문에 높다”고 단언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갈수록 심각해지는 청년실업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기 위한 소기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한 셈이다.

사실 청년실업률이 높아진 원인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단적인 예로 경제분야에서 원인을 찾는다면, 전통적 산업 기반인 제조업 고용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조선업 구조조정과 전자·통신 등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쟁의 심화를 들 수 있다. 주력 수출 품목인 전자부품, 컴퓨터, 통신장비 제조업 등의 고용시장은 최근 3년 연속 감소하면서 고용 한파가 몰아쳤기 때문이다.

또 정치와 연관시킨다면 국제사회의 흐름을 읽어내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실패한 정부와 여당, 그리고 견제 기능을 소홀히 한 야당, 특히 대학 등 교육기관에 돈을 퍼주는 데 급급했을 뿐 기업의 인적 수요를 잘못 예측한 채 수수방관한 교육부도 문제다. 모두가 책임의 소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뜻이다. 더 늦기 전에 모두가 하나로 힘을 모아 해결책 마련에 나섰으면 하는 바람이 여기에 있다. 마창훈 경북본사 차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