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귀농유치에만 목매지 말고 ‘역귀농’대책도 세워야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7-02-22   |  발행일 2017-02-22 제31면   |  수정 2017-02-22

경북은 귀농 1번지로 통할 만큼 귀농인들의 정착지로 각광받고 있는 곳이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전국의 귀농가구수를 조사한 결과를 보더라도 경북은 6천264가구로 전국 9개 도지역 가운데 1위다. 토지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재배작물 선택의 폭이 넓은 데다 각 시·군이 대대적으로 귀농귀촌 정책을 펼친 때문으로 풀이된다. 침체된 농촌에 귀농인구가 몰리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귀농인이 적응에 실패해 다시 도시로 돌아가는 역귀농 인구도 적지 않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역귀농에 대한 지자체의 관심과 대응은 상당히 미흡하다. 귀농귀촌 성공사례를 내세워 귀농인을 모으는 데만 열을 올릴 뿐 귀농 실패사례 실태조사를 벌이거나 변변한 통계조차 거의 없는 실정이다. 부족하지만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가 2012~2015년 귀농귀촌한 1천가구씩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농촌 적응에 실패해 다시 도시로 돌아오거나 계획 중인 경우는 각각 4%와 11.4%로 나타났다. 적어도 10명 중 1명은 농촌을 등지고 역귀농한다는 얘기다.

어렵게 결심한 귀농이 실패하지 않으려면 철저한 사전준비가 가장 중요하다. 단순히 농촌생활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기대만으로 귀농을 감행한다면 백전백패하기 십상이다. 귀농을 결행하기에 앞서 지자체나 귀농관련 기관·단체를 방문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귀농캠프 등 농촌생활을 체험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에도 적극 참여해야 한다. 또한 농산물을 생산해 수익을 얻기까지 길게는 4~5년이 걸리는 만큼 치밀한 영농계획과 정착 초기 생계대책을 세워야 실패 확률을 줄일 수 있다. 특히 가족 내 일체감을 형성하고 마을공동체와 잘 어울리는 노력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물론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체계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귀농 초기에 맞춰져 있는 지자체의 지원은 생산 농산물 판로 확보 등 정착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한다. 연령제한 등 지나치게 까다로운 지원조건도 완화하고 귀농인구 증가에 발맞춰 예산 규모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대수명이 늘고 700만명에 달하는 베이비붐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귀농귀촌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귀농귀촌진흥원은 2034년 귀농귀촌 인구가 300만명을 넘을 것으로 예측했다. 이 같은 시대 흐름에 발맞춰 각 지자체는 귀농이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는 원동력이 되도록 실속 있는 맞춤형 대책을 세워야 한다. 무엇보다 귀농인 유치에만 목매지 말고 역귀농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실태조사와 함께 면밀한 대책을 마련해주길 바란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