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로에서] ‘지방 계란’ 김관용은 ‘중앙 바위’를 깨트릴 수 있을까

  • 전영
  • |
  • 입력 2017-03-15   |  발행일 2017-03-15 제30면   |  수정 2017-03-15
20170315

중앙 정치의 편가르기 문화
대립과 갈등만 부추겼을 뿐
서민 삶은 벼랑으로 내몰아
지방의 가치 내세운 도전이
국민 선택 받을지 관심쏠려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14일 드디어 출사표를 던졌다. 그의 대권 행보가 찻잔 속의 태풍으로 그칠 것인지, 지지그룹 이름인 ‘용오름’처럼 하늘 높이 날아오를지 정치권은 물론 지역민들이 주목하고 있다.

레이스에 들어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지지율 1·2위를 진보성향의 야당 후보인 문재인과 안희정이 달리고 있다. 보수쪽 대항마였던 반기문은 허무하게 날아갔고, 기대를 걸고 있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도 출마가 불투명하다. 성급한 사람들은 저울의 추가 진보쪽으로 완전히 기울었다고 말한다.

자유한국당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의 공범자라며 이번 대선에서 배제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그렇게 되면 자유한국당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구·경북이 이번 선거에서 들러리만 서야 한다. 대통령을 제대로 보좌하지 못한 잘못이 적지 않지만 그로 인해 대구·경북의 미래까지 박탈당할 수는 없다.

그래서 김 도지사의 출마선언이 반갑다. 그런데 의문이 든다. 왜 김 도지사는 전국적인 인지도가 낮고 외교·국방에서의 경험이 없다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선택을 했을까? 그를 잘 아는 사람들은 ‘지방의 가치’를 중앙 무대에서 펼쳐보이고자 선택한 길이라고 말한다.

김 도지사는 틈날 때마다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용을 이야기했다. 기초·광역단체장을 각각 3선 역임하며 20년 동안 현장을 지킨 경험은 누구와도 비교할 수 없는 자산이다. 그는 자신을 “(지방자치)현장에 참여한 사람”이라고 설명한다. ‘김관용을 통해 사람 중심의 차별없는 세상을 이루겠다’는 구호도 주민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바닥민심을 꿰뚫고 있기에 자신있게 하는 말이다.

김 도지사가 말하는 지방의 반대편에 놓여 있는 중앙이 지난 시간 보여준 행태는 국민을 지치게 했다. 과정은 어찌됐든 이기기만 하면 된다는 편가르기와 패거리정치는 대립과 갈등을 부추기고 민생과 서민경제는 외면했다. 사상 최고의 청년실업률과 가계대출 수치에서 보듯 국민은 벼랑끝에 내몰려 있다.

김 도지사는 국민의 삶을 외면한 중앙정치는 실패한 것이라고 단언한다. 실패한 중앙을 대신하고자 하는 것이 그가 내세우는 ‘지방의 가치’다. 지방의 현장은 서로를 보듬을 줄 안다. 서민들은 함께 살길을 찾고자 한다. 이같은 ‘지방의 가치’가 갈등을 치유하고 새로운 시대를 여는 대한민국의 아이콘이 되길 김 도지사는 기대한다. 지방이 중앙의 변두리나 들러리가 아니라 대한민국을 지탱하고 있는 거대한 기둥이다.

‘지방’이라면 안희정도 남경필도 홍준표도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해 이들은 토종이 아닌 낙하산이다. 이들의 무대는 지방이 아니라 중앙이었다. 지방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스스로 행한 발걸음이라기보다 중앙무대를 노리기 위한 잠시 동안의 도피처였다. 그래서 이들에게 ‘지방의 가치’를 바라는 것은 무리다. 지방은 그들에게 어울리지 않는 옷처럼 보인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지방의 가치를 앞세운 김 도지사의 대권행보를 ‘계란으로 바위치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번 선거에서 김 도지사가 대권을 거머쥐지 못하더라도, 지방에서 제2의, 제3의 김관용이 계속해서 나온다면 분명 계란에 의해 바위가 깨지는 날이 올 것이다. 지방에 쉽게 허락하지 않는 중앙정치무대라고 지레 겁먹고 도전하지 않는다면 대구·경북을 비롯해 지방은 영원히 변방의 들러리로 남을 뿐이다.

지금 대한민국은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격랑 속에 빠져 있다. 김 도지사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물길을 환하게 읽어내는 노련한 뱃사공임을 자처하고 있다. 김 도지사의 도전에 대한 판단과 선택은 대구·경북지역민과 국민의 몫이다. 전영 (경북본사 1부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