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김철기 교수 연구팀, 감지속도 20배 더 빠른 바이오센서 플랫폼 개발

  • 박종문
  • |
  • 입력 2017-04-15   |  발행일 2017-04-15 제21면   |  수정 2017-04-15
암 등 조기진단 등 활용 예정
DGIST 김철기 교수 연구팀, 감지속도 20배 더 빠른 바이오센서 플랫폼 개발

DGIST(총장 손상혁)는 신물질과학전공 김철기 교수 연구팀이 거미집을 모방한 자성(磁性) 패턴을 활용해 기존의 바이오센서보다 감지속도가 20배 빠른 바이오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김철기 교수 연구팀은 기존 연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기장을 이용했다. 연구팀은 거미집 모양의 미세 자성 패턴을 활용한 새로운 바이오센서 플랫폼을 개발해 초상자성입자가 부착된 바이오 분자를 센서로 모으는 방법으로 저밀도의 바이오 분자 포집 능력을 증가시켜 바이오센서의 감지 능력을 향상시켰다.

논문의 제1저자로 참여한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임병화 박사과정은 “초상자성입자가 바이오센서의 중심을 향해 움직이도록 설계된 거미집 형태의 미세 자성 패턴과 고감도 바이오센서를 플랫폼에 배열했다”며 “거미집 모양의 자성 패턴에 회전자기장을 가하면 초상자성입자가 부착된 바이오 분자가 센서로 빨리 모이게 할 수 있는데, 그 이동 속도가 빨라 확산에 의한 방법보다 20배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고 바이오센서 플랫폼에 대해 설명했다.

또 연구팀은 바이오센서 플랫폼을 활용해 감지 영역으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초상자성입자가 결합된 바이오 분자를 모니터링하는 데 성공했으며, 초상자성입자가 운송을 위한 바이오 분자 운반자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센서에 바이오 분자가 있음을 표시하는 표지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김철기 교수는 “기존의 바이오센서는 확산에만 의존해 센서가 저밀도의 바이오 분자를 감지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감지효율이 떨어졌다”며 “자기장 기반 바이오센서 플랫폼은 바이오 분자의 포집 능력을 향상시키고, 바이오 분자 이동 속도와 감도를 증가시켜 암과 같은 질병의 조기 진단과 재발 진단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엔피지 아시아 머티리얼즈(NPG Asia Materials)’ 3월31일 온라인판에 게재됐으며,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과 미래창조과학부 해외우수기관유치사업 플라즈마바이오과학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박종문기자 kpjm@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교육/과학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