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경북 경제권 넘어 남부 광역경제권 구축해야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7-06-28   |  발행일 2017-06-28 제31면   |  수정 2017-06-28

권영진 대구시장이 26일 “남은 임기 1년 동안 대구·경북 단일경제공동체 구축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기실 대구·경북 광역경제권 구축이나 대구·경북 경제통합은 이미 해묵은 화두다. 그렇더라도 대구시장이 광역경제권 구축 의지를 천명한 것은 평가할 만하다. 광역경제권 구축이야말로 지방이 거대 수도권에 대응할 유일한 방법인 까닭이다.

주변 여건도 대구·경북 광역경제권 구축에 우호적이다. 국내 최대의 전자산업단지 구미와 자동차부품 메카 대구, 첨단 제조업이 포진하고 있는 경산을 잇는 대구권 광역철도는 대구와 경북의 경제통합을 촉진할 인프라로 손색이 없다. 군위나 의성에 건립될 대구경북통합신공항도 광역경제권 구축에 촉매가 될 게 분명하다.

광역경제권이 대구·경북에 국한하지 않고 남부권 전체로 확대된다면 시너지 효과는 배가(倍加)된다. 그런 점에서 대구·경북 경제권을 넘어 이른 시일 내 남부권 광역경제권을 구축하는 게 더 바람직할 것이다. 마침 남부권 광역경제권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할 대구~광주 내륙고속철도 건설 가능성도 높아졌다. 대구~광주 간 달빛고속철도 건설이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데다, 대구와 광주가 함께 조기 건설에 공을 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와 광주시는 조만간 양 지역 시의회·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달빛고속철도 추진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영·호남은 전자·조선·완성차·자동차부품·기계·석유화학·에너지 등 우리나라 경제를 떠받치는 주요산업을 모두 아우르고 있다. 대구의 자동차부품과 광주의 완성차, 대구의 첨단의료와 광주의 광산업은 궁합도 절묘하다. 영·호남 경제공동체의 구심력과 원심력이 제대로 작동할 경우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는 것은 물론 경제적 파급효과가 상상을 초월할 수 있다는 의미다.

광역경제권 구축은 이미 글로벌 트렌드다. 일본 오사카·교토와 시가·나라·고베 등 2부 7현은 2010년 행정구역을 뛰어넘는 간사이 광역경제연합을 구축했다. 이후 침체됐던 지역경제가 살아나며 광역경제권의 진가를 증명했다. 간사이 광역경제권 인구는 영·호남 인구와 비슷한 2천만명이다. 독일 뮌헨 광역경제연합도 광역경제권의 성공 사례로 꼽힌다.

남부권 광역경제권 구축을 위해선 우선 대구·경북 경제권부터 강고하게 다져야 한다. 과거 대구경북연구원에서 제안한 대구·경북 경제통합이 유야무야된 전철(前轍)을 밟아선 곤란하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