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유일 民·官정책협의회 구성…대구 사회적기업 어느덧 760개

  • 최수경
  • |
  • 입력 2017-08-08   |  발행일 2017-08-08 제13면   |  수정 2017-08-08
■ 대구사회적 경제 종합발전 계획 3년차 성과
2020년까지 1500 기업 목표
일자리는 1만2천여개 창출
지역 7개大와 인력양성 협약
교수들과 ‘연구자네트워크’도
20170808
지난 6월26일 대구시청에서 대구시와 대구권 7개 대학 총장들이 모여 사회적 경제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정현태 경일대 총장, 김정우 대구가톨릭대 총장, 신일희 계명대 총장, 김상동 경북대 총장, 권영진 대구시장, 서길수 영남대 총장, 홍덕률 대구대 총장, 변창훈 대구한의대 총장, 김재경 대구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 <대구시 제공>
20170808

대구가 사회적 기업·협동조합·마을기업이 지역사회 발전의 구심점이 될 사회적 경제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잰걸음을 하고 있다. 그 기본토대는 2015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결성한 민·관정책협의회가 수립한 대구 사회적경제 종합발전계획(2016~2020년)이다. 사회적 경제는 취약계층에 사회 서비스와 일자리를 제공,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각종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판매하는 경제적 활동을 통칭한다. 일반 기업과 달리 이윤을 추구하면서도 양극화 해소,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일종의 경제커뮤니티다. 생산적 복지와 사회적 돌봄, 수익의 사회적 목적 재투자, 민주적 의사결정구조 등이 주된 특징이다. 이른바 ‘착한 경제’ ‘따뜻한 경제’로 인식되고 있는 사회적 경제가 올해 사회적 기업 육성법 시행 10년을 맞으면서 대구시도 도약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청와대 일자리 수석실 밑에 사회적 경제비서관을 신설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최근 열린 사회적기업 국제포럼에서 “향후 10년내 사회적 기업 10만개를 육성하자”고 역설했다. 대구시는 이러한 정황들이 지역 사회적 경제규모를 보다 확장할 수 있는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종합발전 5개년 계획 자체 수립

대구시는 2015년 민·관정책협의회(57명)를 통해 사회적 경제활성화 로드맵인 ‘대구사회적 경제 종합발전 계획’을 수립했다. 민·관이 사회적 경제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년 내내 머리를 맞댄 채 장기플랜을 만든 것은 전국적으로도 유례가 없다. 특히 시 공무원과 지역민들로 구성된 협의회는 별도 용역을 발주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계획안을 만든 것이 눈에 띈다. 지자체는 사회적 경제 지원조례 제정과 전담부서 설치를, 시민은 구·군별로 협의회를 꾸렸다. 협의회는 정책발굴, 정책반영, 평가시스템이 함께 연동되도록 했다. 민이 주도하고 관은 지원하는 시스템이 갖춰진 것이다. 이런 기반 위에 마련된 종합계획안은 제법 꼼꼼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계획안은 사회적 경제 조직의 △자생력 강화 △인적자원 육성 △지역문제 해소 플랫폼 구축 △육성기반 조성 등 4개 중점과제로 나눠진다. 총 36개의 세부사업이 진행된다. 무엇보다 사회적 경제조직 자생력 강화(9개 세부사업, 487억원)가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한다. 맞춤형 육성을 위한 컨설팅(매년 230개)·재정지원(매년 130개)·모범기업 육성의 일환인 자율경영공시(70개)·크라우드 펀딩(민자 5억원)·연대기금(민자 5억원)이 눈길을 끈다. 전체 사업비는 2020년까지 국비 350억원을 포함, 총 590억원이다.

◆사회적 경제의 성과는

대구의 사회적 경제 규모는 조금씩 괄목할 만한 변화를 띤다. 2014년 사회적 경제 기업수는 462개로, 4천400명의 일자리가 창출됐다. 3년 뒤인 2017년 6월 현재 사회적 경제 기업수는 총 760개(일자리 8천명)로 늘었다. 활동영역은 먹거리·돌봄·교육·문화예술·지역개발 등 다양해졌다. 대구시는 올 연말까지 사회적 경제기업 800개, 일자리 8천700개 창출을 목표로 잡았다.

양적성장과 함께 질적 성장이 받쳐주고 있다는 점도 고무적이다. 2014년 지역 사회적 경제기업 상품의 공공구매액과 매출액은 각각 38억원, 400억원이었다. 하지만 올 6월말 현재는 공공구매 60억원, 매출액은 600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대구시는 내년 말까진 매출액 1천억원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이같은 성장세는 대구가 서울, 강원도에 이어 전국에서 셋째로 전담부서인 사회적 경제과를 신설(2014년 9월)하고, 총괄 지휘하는 사회적 경제지원센터를 개소(2016년 7월)한 게 밑바탕이 됐다. 이를 바탕으로 창업교육, 육성사업, 컨설팅 사업이 가시화된 것. 대구시는 2020년엔 사회적 경제기업이 1천500개에 이르고, 1만2천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인적 자원육성 기반도 뿌리내려

문재인정부가 공공이익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근간으로 하는 사회적 경제를 중시하면서, 대구는 전문 인력양성을 통해 한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지난 6월26일 대구시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경북대, 영남대 등 대구권 7개 대학 및 대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와 사회적 경제 전문인력양성 업무협약을 맺었다. 정부의 사회적 경제 활성화 정책에 선제 대응하자는 차원에서다. 협약에는 △사회적 경제 교육확대를 위한 교양과목 개설 및 인턴십 프로그램 개발 △지역 대학(원)생의 사회적 경제기업 창업·취업 활성화 지원 △관련 연구 및 인재양성 △사회적 경제기업 제품 및 서비스 우선 구매 확대가 포함됐다. 대구시의 행정지원, 대학의 우수 교육인프라, 민간의 풍부한 현장 대응력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지게 됐다.

앞서 지난해 9월엔 대구시·대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가 지역 대학교수들과 ‘연구자 네트워크’를 발족, 정기적으로 포럼을 열고 있다. 대구 사회적 경제현황 진단, 대구형 모델발굴 및 정책개발이 이 포럼의 주된 역할이다. 2015년 8월엔 대구시와 대구가톨릭대가 손잡고, 사회적경제 전문가를 양성하는 대학원(MBA과정)을 지역에서 처음으로 신설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사회적 경제에 대한 기본적 이해 및 인식 확산, 청년 인재육성, 지역대학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사회공헌 확대 등이 양질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획/특집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