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전 밀집지역에서 6.5 이상 强震 발생한다면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7-11-18   |  발행일 2017-11-18 제23면   |  수정 2017-11-18

지난해 경주 강진과 지난 15일 포항 강진이 모두 경북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했다는 사실은 원전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새삼 일깨운다. 한반도 역대 최강 지진이 원전이 밀집해 있는 동해안에서 그것도 1년 간격으로 발생했기 때문이다. 포항 지진 진앙지 100㎞ 이내에만 12기의 원전이 몰려 있다. 규모 5.4의 포항 지진에도 전국 24기의 원전은 정상 가동됐지만, 원전 밀집지역에서의 잇단 강진으로 주민들의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현재 가동 중인 원전은 대부분 규모 6.5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가 됐고, 2011년 기준이 강화되면서 이후 완공된 원전은 7.0으로 내진설계가 됐다. 문제는 원전 밀집지역에서 규모 6.5 이상의 강진이 발생하는 상황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유인창 경북대 지구시스템과학부 교수는 “학계에선 이론상 한반도에서 규모 6.8~7.4의 강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며 “지리적으로 일본과 가깝고 단층대가 많은 영남권에선 규모 7.0 안팎의 지진이 얼마든지 올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실제 활성단층인 양산단층을 비롯해 울산단층·장사단층 등 많은 단층이 동해안 원전 지역을 관통하고 있다. 가까운 곳에서 1년 새 두 번의 강진이 발생한 것도 찜찜한 대목이다. 응력이 쌓여 또 다른 지진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까닭이다.

원자력학계는 이번 지진에도 원전 운전에 이상이 없다는 사실은 원전 안전성을 입증한 것이라고 밝혔다. 동의하기 어려운 궤변이다. 이들이 주장하는 원전 안전은 규모 6.5 이상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가정(假定)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지질학계에선 규모 7.0의 강진 발생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설사 6.5 이상의 강진 발생 확률이 매우 희박하다 하더라도 만전의 대비책을 마련하는 게 옳다.

우선은 신규 원전의 내진설계 기준을 높이고 기존 원전의 내진성능을 보강하는 게 급선무다. 정부는 지난달 내년 6월까지 모든 원전의 내진성능을 규모 7.0으로 높이겠다는 원전 안전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강진이 다시 일어난 만큼 내진시설 보강에 고삐를 죄어야 할 것이다. 노후 원전의 조기 폐쇄도 차질 없이 진행돼야 한다. 한수원은 16일 “월성 1호기의 조기 폐쇄는 불가피하지만 시기를 확정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월성 1호기는 2022년까지 설계수명을 10년 연장해 가동 중이다. 또 동해안 원전 지대만이라도 활성단층 지도 제작을 서둘러야 한다. 원전 밀집지역 지진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관리와 대응이 절실하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