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물산업 허브 대구’ 물기술인증원 유치가 관건

  • 뉴미디어부
  • |
  • 입력 2018-09-17   |  발행일 2018-09-17 제31면   |  수정 2018-09-17

영국의 물 전문 리서치기관 GWI는 2030년 세계 물산업 시장규모를 1조1천306억달러로 전망했다. 물산업을 21세기 경제성장을 견인할 ‘블루 골드’로 꼽는 이유다. 우리나라 물산업 규모는 세계 12위권이지만 영세업체가 대부분이다. 업체당 평균 종사자 수는 11.7명에 불과하고 96%는 내수시장만 바라보는 처지다. 그만큼 발전과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대구시가 물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대구 달성군 국가산업단지에 65만㎡ 규모로 조성되는 물산업 클러스터는 2천817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국가 프로젝트다. 2016년 착공해 내년 6월 완공될 예정이다. 물 관련 시험·인증 및 연구시설, 실증화시설(테스트베드), 글로벌 비즈니스센터 등 물산업 지원시설이 들어선다. 그동안 물산업법 제정이 미뤄지면서 클러스터 입주기업의 연구개발에서부터 인증, 상용화까지 원 스톱 지원 시스템을 가동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으나, 지난 6월 ‘물관리 기술발전 및 물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의 국회 통과로 탄력을 받게 됐다.

대구는 주변 수자원이 풍부하고 물 관련 인프라와 IT·BT 등 연관산업이 잘 구축돼 있다. 완공을 1년 앞두고도 벌써 21개 기업이 물산업클러스터 입주 계약을 마친 것도 ‘물산업 도시 대구’의 가능성을 염두에 둔 판단일 게다. 대구시는 2020년까지 50개 기업과 30개 연구시설을 물산업클러스터에 유치한다는 복안이다.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투자금액이 4천억원에 이르고 2천여명의 고용을 유발한다.

문제는 물산업클러스터에 반드시 필요한 국가기관 한국물기술인증원의 대구 유치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국내 유일의 물산업클러스터인 만큼 물기술인증원은 당연히 대구에 와야 하지만 사정은 녹록지 않다. 경기도·대전·광주 등 몇몇 지자체가 물기술인증원 유치 경쟁에 뛰어들 태세여서다. 급기야 환경부는 용역을 발주했다. 용역결과를 토대로 물기술인증원 설립위원회를 구성하고, 내년 상반기쯤 입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물기술인증원 유치는 대구가 물산업 허브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1차 관문이다. 물기술인증원을 유치해야 후속사업도 속도를 낼 수 있다. 스마트워터시스템 구축과 국립물융합체험관 건립 등 물산업클러스터 후속사업엔 2023년까지 4천억원이 투입된다. 3년 동안 묵혔던 물산업법 제정을 견인한 것처럼 물기술인증원 유치에도 지역 정치인들의 역량을 모아주기 바란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