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이 살길은…
“성주참외·의성마늘처럼
최고 상품으로 평가돼야”
결국 지역민들의 ‘서울행(行)’ 발걸음을 줄이기 위해선 대구와 경북의 브랜드 파워를 키우는 수밖에 없다. 대구 업체와 경북 상품이 ‘시장 최고’로 인식될 때 지역에서도 전국으로 판로가 열리고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돼 주민들이 안심하고 경제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국 최고로 평가되는 ‘성주 참외’와 ‘의성 마늘’ 재배 농가가 성주와 의성을 지키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는 것이다.
70년 역사를 가진 대구의 안경산업이 지향하는 목표도 이와 비슷하다. 국내 안경 제조업체의 80% 이상이 대구에 위치해 있고 안경테 수출의 90%를 대구 업체가 차지해 안경은 대구의 대표산업이다. 하지만 ‘대구 안경’이 소비자 사이에 최고제품으로 인식되기 위해선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평가다.
지난달 2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지역특구법 개정안’도 서울 중심의 시장 구조를 깰 수 있는 새 동력으로 평가되고 있다. 법 개정 내용이 발효되면 대구·경북을 포함한 비수도권에선 광범위한 규제특례가 적용되는 ‘규제자유특구’가 지정되는 길이 열린다. 시·도별로 지역 특성에 맞는 산업을 선택해 지역전략산업으로 키우면 시장 최고의 산업과 상품이 비수도권 곳곳에서 태동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권혁식기자 kwonhs@yeongnam.com
[Copyrights ⓒ 영남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