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완성, 대구·부산·세종 누가 빠를까

  • 최수경
  • |
  • 입력 2019-02-16 07:57  |  수정 2019-02-16 07:57  |  발행일 2019-02-16 제12면
■ 실증도시와 시범도시의 차이
20190216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 4차산업혁명에 적용되는 각종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총결집된 스마트시티(Smart City) 조성사업이 도시 경쟁력의 중요 지표로 떠올랐다. 정부는 지난해 1월 세계스마트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해 세종·부산을 한국형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지정했다. 또 대구와 경기도 시흥은 스마트시티 관련 각종 ICT기술을 테스트하는 실증도시로 선택됐다.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와 실증도시는 상호보완관계다. 실증도시에서 연구 검증된 기술이 향후 시범도시에 접목된다. 얼핏 사업 타이틀이나 지원 규모만 봤을땐 시범도시가 실증도시보다 경쟁우위에 있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정부도 밝혔듯이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의 핵심은 도시형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분석처리하는 데이터 관리다. 이 연구를 바로 실증도시가 수행한다. 결국 실증도시의 연구수행이 정부가 주창하는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시티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필수코스인 셈이다. 아울러 시범도시는 기존 검증된 스마트시티 관련기술을 바탕으로, 백지상태의 빈 공간에서 시작한다. 실증도시의 경우 기존 인프라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지능형 교통시스템 관련 기술 등을 먼저 테스트한 뒤 해당 도시에 빨리 접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구가 부산·세종보다 완성형 스마트시티를 먼저 선보일 수 있다는 얘기다.

◆백지상태서 시작하는 시범도시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는 LH가 연동면 일원 274만㎡(82만평)에 조성한다.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환경, 거버넌스, 문화·쇼핑, 일자리 등 7대 서비스 구현에 최적화된 공간을 만드는 게 목표다. 최적화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 공간구조를 새롭게 계획하고, 자율주행·공유 기반의 첨단교통수단 전용도로와 개인소유차량 진입제한 구역 등이 설정된다.

자율차 전용도로 구역 내에선 개인차량의 통행·주차를 제한하고 자율 셔틀과 공유차 이용을 유도할 방침이다. 퍼스널 모빌리티에 최적화된 도로설계, 스마트 횡단보도 및 스쿨존 안전서비스 등 보행자를 위한 요소도 공간구상에 반영한다. 도시 내 개인소유 차량수를 1/3수준으로 점차 감소시켜 사람 중심의 걷기 좋은 도시를 만들 방침이다.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선제적이고 신속하게 지켜나기 위한 ‘헬스케어’도 핵심 서비스로 제공된다. 또한 응급상황 발생시 스마트 호출과 응급용 드론 활용, 응급센터까지 최적경로 안내, 화상연결을 통한 환자정보 전달(응급차-병원) 등으로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환자의 생존율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기존 인프라 기반으로 자율주행 등 실험
‘도시에 바로 접목’ 장점 실증도시 대구
백지서 시작 시범도시 부산·세종과 달라

대구, 작년부터 2022년까지 614억 투입
교통·안전 등 데이터 허브모델 개발 한창



부산에는 에코델타시티(세물머리 지구)내 220만㎡(66만평)에 스마트시티 시범도시가 들어선다. K-water가 주관해서 추진된다.

급격한 고령화나 일자리 감소 등 도시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로봇 및 물 관리 관련 신산업 육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웨어러블 로봇, 주차 로봇, 물류이송 로봇이나 의료로봇 재활센터(헬스케어 클러스터) 등을 도입, 시민이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로봇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로봇통합관제센터(플랫폼)와 로봇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로봇에 최적화된 인프라와 테스트베드를 제공, 기업의 사업화도 지원한다. 부산은 도시 내 물순환 전 과정(강우-하천-정수-하수-재이용)에 첨단 스마트 물 관리 기술·서비스를 적용,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한국형 물 특화 도시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공간구성과 관련해선 증강현실 등 4차산업혁명 관련 신산업 육성을 위해 ‘5대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할 것으로 전해졌다.

◆대구, ICT기술의 테스트베드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는 기존 검증된 ICT 기술을 집결시키는 공간이다. 하지만 미래 가장 궁극적인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해선 데이터기반 스마트시티 연구개발사업이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 그 중추적 역할을 대구가 담당하게 된다.

지난해 7월 대구는 경기도 시흥시와 함께 스마트시티 실증도시로 선정됐다. 대구(국비 358억원을 포함해 총 사업비 614억원)는 교통·안전·도시행정분야를, 시흥시는 환경·에너지·생활복지분야의 연구수행을 전담하게 된다.

두 도시에 2022년까지 총 1천159억원의 연구비(국비)가 투입돼 ‘한국형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모델’을 개발하게 된다.‘데이터허브 모델’은 도시 인프라와 시민으로부터 수집되는 각종 데이터를 통합관리해 필요한 정보를 재생산하는 ‘도시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이다. 도시 규모 및 적용가능한 기술개발 범주를 봤을 때 사실상 한국 스마트시티의 성공 여부는 대구의 손에 달린 셈이다.

연구수행에는 공공기관인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가 동참한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연구개발사업을 총괄하며 실증연구를 관리·지원하고, 그 성과물을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에 확산·적용한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는 ICT관련 기술자문을 맡는다.

대구는 지난해 ‘범부처 기가코리아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5세대 기반 스마트시티 서비스개발·실증공모에 선정돼 2020년까지 388억원을 지원받는다. 당시 5세대기반 C-ITS 자율주행서비스 실증 공모사업(2020년 완료· 544억원)에도 함께 선택받았다.

수성알파시티(97만㎡·29만평)에는 ‘스마트 비즈니스센터’(2021년 완공·345억원)를 건립, 각종 빅데이터를 한데 모을 예정이다. 이 데이터는 스타트업 등 지역 기업이 활용해 사업화할 수 있다. ICT인력이 풍부한 대구는 로봇·수처리 관련 기술이 축적돼 있고, 실증도시로 선정되기 전부터 사전 준비도 꾸준히 해왔다. 2015년부터 수성IC 옆에 있는 수성알파시티를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지로 점찍고 관련 사업을 추진해왔다.

2017년 7월엔 전국 최초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수도계량기 원격검침서비스를 도입했다. 국채보상운동공원의 스마트공원 조성사업(2017년 9월), 수성알파시티 스마트시티 리빙랩(시민참여형 생활실험실) 조성(2019년 1월) 등을 선제적으로 시행했다.

대구시는 실증도시에서 멈추지 않고, 이를 토대로 대구 전역을 스마트시티로 변모시키겠다는 청사진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대구 도심 일원에 생활편의형 서비스를 구축하고 스마트 솔루션 서비스를 통해 환경·에너지·사회적 약자 돌봄 서비스 개발 등 시민체감형 도시문제 해결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올해 214억원을 투입해 스마트공장 구축 컨설팅을 추진, 스마트시티조성 효과를 극대화할 생각이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수경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