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인증원으로 물산업 허브 기틀 마련…2025년까지 일자리 5천개 목표

  • 최수경
  • |
  • 입력 2019-05-17 07:24  |  수정 2019-05-17 07:24  |  발행일 2019-05-17 제13면
날개 단 대구국가물산업클러스터
클러스터 밖 정수장까지 활용
‘분산형 테스트베드’ 구축 목표
클러스터 분양률 45% 그친 것
제대로 된 기업유치 위한 전략
물기업 미국 시장 진출 위해선
인·검증 비용과 기간단축 필요
유체성능시험센터 유치도 시급
물인증원으로 물산업 허브 기틀 마련…2025년까지 일자리 5천개 목표
물 관련 기술인증 기준이 엄격하기로 유명한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한 공인실험연구소 전경. 이 연구소의 인증서가 첨부돼야 캘리포니아주의 물인증기준(CA TITLE 22)을 통과할 수 있다. 대구시는 물산업클러스터내 필요한 시험기자재를 파악하기 위해 이곳을 직접 방문했다. <대구시 제공>

대구국가물산업클러스터(달성군 구지면 일대·65만㎡)내 한국물기술인증원 입성이 확정되면서, 대구는 명실상부 국내 물산업을 대표하는 허브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틀을 다지게 됐다. 앞으로가 중요하다. 촉망받는 물기업들이 이곳에서 기술 함양에 매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야 한다.

◆대구 물산업의 비전

권영진 대구시장은 최근 앞으로 물기술인증원을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NSF(미국 알렉산드라)를 비롯해 ANSI(미국 워싱턴), WRAS(영국 스코틀랜드)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국제인증기관으로 육성하겠다고 했다. 대구가 강점을 갖고 있는 실증화시설(테스트베드)을 십분활용하면 가능하다는 것. 물산업클러스터 내 구축된 정수·하수·폐수·재이용 테스트베드(10만3천여㎡) 외에 매곡·문산 정수장, 신천하수처리장, 성서산단 폐수처리장 등 클러스터 밖에 조성된 17개 환경기초시설을 물기업의 기술 개발 및 실적확보를 위한 실험공간으로 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 비전이다. 이른바 ‘분산형 테스트베드’ 구축(사업비 159억원)이 동반돼야 가능하다. 대구시는 이 사업을 2023년까지 완료하기 위해 국비(80억원) 확보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대구시는 물기술인증원에 국내 물기업이 활발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해외인증도 너끈히 받을 수 있도록 기업 컨설팅 기능도 탑재하려 한다.

그러면서 미국 캘리포니아의 권위있는 물 관련 인증기준인 ‘CA TITLE 22’를 예로 들었다. 이 기관이 정한 인증기준을 충족하려면 인검증 비용은 최대 1억원까지 든다. 인검증 기간도 짧게는 6개월, 길게는 3년이 걸린다. 대구시는 물기업들의 미국시장 진출을 위해선 이 같은 비용과 소요시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권 시장은 “물기술인증원에서 국제인증을 잘 받을 수 있도록 컨설팅 기능을 보강하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대구시는 2025년까지 세계시장에서 통용될 수 있는 물 관련 원천기술 10개, 수출 1조원, 양질의 일자리 5천개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더 나아가 2030년까지는 정부의 물산업분야 수출목표인 10조원의 30%를 대구 물산업클러스터에서 책임질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물인증원으로 물산업 허브 기틀 마련…2025년까지 일자리 5천개 목표

◆클러스터내에 중견 플랫폼 기업 유치해야

물산업클러스터가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로부터도 주목받으려면 역시 역량있는 기업의 합류가 절실하다. 대구시는 물산업클러스터 기업집적단지(48만㎡) 내에 50~60개 기업을 유치하려 한다. 물기술인증원의 대구행이 결정되기 전에 이미 24개사가 공장용지(4개사는 가동 중)를 분양받았다. 일각에선 기업집적단지 전체 면적이 48만1천㎡인데 분양률이 45%(21만7천630㎡)인 점을 많이 우려했다.

권 시장은 이에 대해 “더 유치할 수도 있지만 이는 사실 전략이었다. 클러스터에는 제대로 된 기업이 많이 와야 한다”면서 “인증원 유치 후에 역량있는 기업들이 더 올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일부러 부지를 남겨뒀다”고 했다. 대구와 함께 국내 물산업을 진흥시킬 확고한 의지가 있는 기업이 입질하기를 기다린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현재 대구시는 클러스터에서 플랫폼 기능을 할 물 관련 앵커기업을 유치하는 데 총력을 쏟고 있다. 각 기업의 보유한 개별 제품(기술) 아이템을 하나로 묶어주고, 클러스터 운영의 구심점이 될 수 있는 중견 기업 1~2곳을 염두에 둔 것이다.

클러스터 입주기업들의 퀄리티를 함께 끌어올리자는 취지에서 이미 입주를 결정한 24개 기업의 역량에 대해서도 검증을 하겠다는 게 대구시의 생각이다. 대구와 함께 국내 물산업을 대표하는 물산업클러스터를 같이 키워갈 의지가 없다면 굳이 붙잡지 않겠다는 것이다. 공장부지가 모자라면 2022년 내에 인근 국가산업단지 2단계 조성 때 제2의 물산업클러스터 부지를 마련, 성장역량을 담아낼 그릇을 계속 넓혀가겠다는 뜻이다.

권 시장은 “2단계 물산업클러스터조성사업은 경북도와 협력사업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물인증원의 지원군은 더 많이 확보해야

대구시는 오는 7월부터 본격 가동되는 물산업클러스터가 국내 물산업진흥에 있어 중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했다. 그러려면 필요한 시설 인프라 2개가 더 필요하다.

우선 유체성능시험센터(국비 327억원, 1만3천여㎡)가 시급하다. 이 센터는 총 930여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대구시는 클러스터내 유체성능시험센터까지 건립되면 대구가 수출지향형 물산업의 메카로 우뚝 서게 된다며 기대감을 표했다. 성능이 우수한 물 관련 기자재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해선 수출규모가 크고 성장세도 빠른 밸브·유량계·펌프·수도미터 등의 성능시험 지원 및 인검증 시설이 필요해서다. 대구시는 2016년 하반기 때 이 센터를 클러스터 내 건립해야 한다고 환경부와 국회 등에 건의했었다. 지난달엔 정부에 센터건립 적정성 검토서도 제출했다. 아직 정부는 화답하지 않고 있다. 대구시는 물기술인증원의 대구행 결정 이후 정부의 스탠스가 보다 명확해질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다.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진행하려는 ‘스마트워터시스템’도 빼놓을 수 없다. 물산업클러스터가 조성돼 있는 대구국가산단 인근에 구축하려 한다. 사업비는 국비 1천700억원을 포함, 2천429억원(6만4천㎡) 정도로 추산된다.

기능은 크게 3가지다. △정보통신기술(ICT), 사물인터넷(IoT) 등 각종 첨단기술을 활용한 유량·수질 원격관리 △낙동강 수질 개선, 에너지 생산 및 유효자원 회수, 녹조 제거 등을 맡을 물에너지·자원회수센터 △국가산단내 하수·폐수 재이용을 위한 무방류 시스템이 그것이다. 대구시는 오는 7월 이와 관련한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 용역(시비 5억원)을 진행한다. 내년 상반기쯤엔 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신청할 방침이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수경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