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광주형 일자리 사업’ 구미 경제 복원할 기회다

  • 뉴미디어부
  • |
  • 입력 2019-05-21   |  발행일 2019-05-21 제31면   |  수정 2019-05-21

구미가 제2의 광주형 일자리 사업 후보지로 낙점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19일 “제2, 제3의 광주형 일자리를 더 활성화해야 한다”며 “6월 이전 한두 곳에서 가시적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 관계자도 “구미의 경우 논의가 매우 구체적인 단계까지 진전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광주형 일자리’는 노·사·민·정 합의를 기반으로 한 상생형 지역 일자리다.

구미의 상생형 일자리 협의가 진행 중인 분야는 전기차 배터리인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가 원만히 타결될 경우 삼성SDI·LG화학·SK이노베이션 등 대기업의 참여가 예상된다. 구미의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정부가 3대 신산업으로 지목한 비메모리반도체·바이오·미래차와 연계되는 데다 대기업이 참여한다는 점에서 침체일로의 구미엔 기회임이 틀림없다.

알다시피 구미경제는 빈사상태에 빠져 있다. 1969년 국내 최초의 산업단지 구미산단이 조성된 이래 최악의 상황이다. 2013년 367억달러에 이르렀던 구미산단의 수출 실적은 지난해 259억달러로 쪼그라들었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선 구미산업단지의 위상 추락이 더 확연히 드러난다. 구미산단의 수출 비중은 2005년만 해도 10.7%였으나, 2009년 8%, 올 들어선 3%대로 떨어졌다.

수출이 꺾이자 구미산업단지 근로자 수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구미산단 근로자는 2015년 10만2천240명이었으나 지난 2월엔 9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2014년 80%를 넘었던 구미산업단지 가동률 역시 55.5%로 수직낙하했다. 특히 50인 미만 중소기업 가동률이 32.1%에 불과한 현실은 구미 제조업의 위기를 가감 없이 노정한다. 50인 미만 중소업체는 구미 기업 수의 88%를 차지하고 있다.

구미의 어려운 실상을 감안하면 노·사·민·정이 합의를 도출해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반드시 성사시켜야 한다. 2017년 8월부터 분양을 시작한 구미산업단지 5단지(하이테크밸리)는 분양실적도 저조하지만 일본계 도레이첨단소재말고는 국내 대기업이 한 곳도 없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통해 대기업 유치 물꼬를 트는 게 중요한 이유다. 가능하다면 전기차 배터리뿐 아니라 확장성이 큰 비메모리반도체 분야의 광주형 일자리에도 욕심을 내볼 만하다. 상생형 일자리 확산이 구미경제 부활의 신호탄이 되길 기대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