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코노미’ 정책, 발등의 불이다

  • 논설실
  • |
  • 입력 2019-09-20   |  발행일 2019-09-20 제23면   |  수정 2020-09-08

식당에서 혼자 밥먹는 사람이 낯설지 않다. 혼밥이 보편화됐기 때문이다. 이만이 아니다. 혼술, 혼영(혼자 영화), 혼여(혼자 여행) 등도 꽤 익숙한 단어가 됐다. 이 덕분에 새로운 경제패러다임으로 ‘1코노미’가 주목받고 있다. 1코노미는 1인과 경제를 뜻하는 이코노미의 합성어다.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생긴 신조어다.

앞으로 1인 가구는 더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다. 통계청의 ‘장래가구 특별추계 2017~2047’ 자료에 따르면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중은 2017년 28.5%에서 2047년 37.3%로 늘어난다. 대가족제도에서 핵가족으로 넘어온지 얼마되지 않았는데 이제는 가족 해체 위기에 직면했다. 1인 가구 증가는 혼인율 감소, 이혼율 증가, 고령화 등이 영향을 미쳤다. 1인 가구는 주로 젊은층과 노년층이다. 청년 실업난으로 인한 젊은층의 결혼 기피로 20~30대의 미혼 1인 가구 수가 늘었다. 지난해 우리나라 혼인율은 사상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취업, 내집마련 등의 부담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세대의 1인 가구 수도 증가했다. 앞으로 노년세대의 1인 가구는 더욱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1인 가구의 연령별 구성비를 보면 2017년에는 30대(17.4%)의 비중이 가장 컸지만 2047년에는 70대(21.8%)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1인 가구의 증가는 단순한 가족형태 변화를 넘어 주거문화, 복지, 교육, 산업 등 사회 및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가 당면한 과제인 저출산, 고령화와도 깊이 관련돼 있다. 1인 가구 증가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는 저출산, 고령화 대책에 11년간 126조원 이상을 쏟아붓고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정부가 18일 ‘인구구조 변화 대응방안’을 발표했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발표에서도 획기적인 대책은 나오지 않았다고 아쉬워했다.

돌봄과 부양, 위급상황 대처, 주거 및 안전지원 등에서 그동안 다인가구에 맞춘 정책들을 과감히 수정해야 한다. 근시안적이고 임기응변식 정책에서 벗어나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이에 앞서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1인 가구 정책에 대한 수요부터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흔히 1인 가구로 뭉뚱그려 말하지만 그 안에는 전문직으로 독신을 즐기는 골드족과 미취업자, 실직자, 독거노인 등 다양하다. 이들 특성을 감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미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기다릴 여유가 없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