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사 과실·기상악화·부품불량 등 원인

  • 마창성
  • |
  • 입력 2019-11-02 07:21  |  수정 2019-11-02 07:21  |  발행일 2019-11-02 제3면
1990년대 이후 민·관·군 헬기 33대 추락
■ 잦은 헬기 사고
조종사 과실·기상악화·부품불량 등 원인

1990년대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민·관·군 헬기 주요 추락사고는 33건에 달한다. ‘연례행사’라는 지적이 나올 만큼 헬기추락사고가 잦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헬기추락사고는 조종사 등 탑승자들이 거의 목숨을 잃는 대형사고로 이어지고 있어 군과 소방당국, 산림청 등 헬기를 운용하는 기관에서 재발방지를 위한 종합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해 7월 포항시 남구 포항비행장 활주로에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이 추락해 5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했다.

또 2003년 8월에는 영천시 화산면 용평리에서 육군 항공작전사령부 소속 UH-1H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등 7명이 사망했다. 2001년 5월에는 안동시 계명산에서 산림항공관리소 양산지소 소속 러시아제 카모프(KA-32T) 소방헬기가 산불진화 도중 추락해 조종사을 비롯한 3명이 숨지는 등 2000년 이후 지난해까지 모두 23차례나 사고가 나 59명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1993년 8월에는 성주에서 해군소속 대잠초계기 링스 MK99가 추락해 10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 1992년 2월, 선산군에서 육군항공대 소속 UH-1H 헬기가 추락해 7명이 사망한 것까지 헬기 사고는 거의 1년에 한 차례 이상 발생해 안타까운 목숨들이 희생되고 있다.

이들 사고는 조종사 과실, 기상악화 등이 원인인 것도 있지만 해병대 마리온 사고처럼 부품(회전 날개와 동체를 연결하는 ‘로터마스트’ 결함) 불량 등의 원인도 있어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특히 이번에 사고가 난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EC-225 헬기는 2016년 4월 노르웨이에서 대형 사망사고를 내 유럽 당국에서 한시 운항정지 조치를 내렸던 헬기와 동일한 기종으로 확인돼 사고원인과 함께 도입과정이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소방당국의 한 관계자는 “헬기 부품은 정비가 의무사항이어서 기체결함은 잘 없다”며 “이번 사고도 블랙박스와 보이스 레코더(음성 기록장치) 장비가 있어야 정확한 사고원인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항=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마창성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