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준의 정원 인문학] 프랑스 바로크 권력과 통제 정원

  • 임성수
  • |
  • 입력 2020-06-12   |  발행일 2020-06-12 제38면   |  수정 2020-06-12
자연도 지배하는 절대 왕정 화려한 기하구조 궁전 탄생

2020061201000371000014631
보르비콩트 저택과 정원. (출처: INSIDR)


神에게 받은 국왕 권력…강력한 통치
귀족 통제·회유, 베르사유 궁전 건설
데카르트, 자연세계 객관적 측정 가능 

여러개 횡축·방사형으로 뚜렷한 질서
화분·벤치·조각상, 태양왕 상징 기록
거대한 수로·수천개 분수·자수 화단
숲 내부공간서 펼친 파티·연회·발레

로마 가톨릭교를 지지하는 국가와 개신교 국가 사이에서 벌어진 30년전쟁(1618~1648)은 유럽의 정치와 경제 지형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종교 간 다툼으로 시작된 전쟁은 국가 간 각종 이해관계가 얽히며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과 프랑스 부르봉 왕권의 대결 구도가 되었으며, 이는 곧 봉건제와 전제군주정의 대립이자 중세와 근대의 전환점이 되었다. 1648년 긴 전쟁을 종결짓는 베스트팔렌 조약을 주도한 승리자 프랑스는 강력한 주권 국가로 유럽의 새로운 질서를 써 내려갈 절호의 기회를 잡게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국내 사정은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었다. 중세 봉건제의 벼랑 끝에 서 있던 프랑스 귀족들은 부르봉 왕권에 최후의 반항을 하였고, 내란에 왕실은 파리의 왕궁을 비울 수밖에 없었다. 절치부심하던 어린 왕 루이14세(1638~1715)는 다시 파리로 귀환, 반체제 인사들을 진압하고 국왕의 권력은 신으로부터 받는다는 확신으로 1655년 '짐이 곧 국가다'를 선언하기에 이른다.

2020061201000371000014633
베르사유 정원의 오랑쥬리와 자수화단. (출처: 베르사유 정원 홈페이지)

군주가 국가의 모든 권력을 갖는 절대왕정을 유지하는 데는 큰 규모의 국가재정과 강력한 통치수단이 필요하였다. 그 누구보다 부유해진 왕은 지방의 봉건 귀족을 감시하고 모든 잠재적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권위와 엄격한 규율로 그들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루이14세는 귀족 세력이 득세하던 파리 도심에서 벗어난 근교에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화려한 궁전, 베르사유 궁전을 건설하고 프랑스의 왕족들뿐만 아니라 지방의 귀족들 대부분을 이주해 와서 살게 하였다. 화려한 궁전 생활에 취한 귀족들은 이제 어떠한 종류의 승진이나 특권을 위해 왕의 관심을 끌어야만 했다. 왕은 그들에게 옷에서부터 얼굴 표정, 식사법에서 걸음걸이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지시하는 복잡한 형식적인 예의범절, 즉 에티켓을 강요하였다. 어떻게든 왕에게 잘 보이고 싶은 지난날의 거칠고 기세등등하던 귀족은 에티켓을 따르며 잘 길든 온순한 궁신으로 변하였다. 바로크 예술의 정수 베르사유 궁전의 화려함은 바로 한 사람의 권력과 권위에 굴복시키기 위한 정형적 인간행태의 강요였고, 궁전 밖 정원은 절대왕권의 정치적· 사회적 연극을 위한 무대였다.

정원인문학7
베르사유 정원 라토나

17세기 당시 프랑스의 사상을 지배한 것은 데카르트(1596~1650)의 철학이었다. 인본주의 교육에서 성장한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고 하며 인간을 자율적이고 합리적인 주체로 격상시켰다. 인간이 이성적으로 세상을 지배할 수 있다는 신념에 차 있던 데카르트는 더 나아가 인간이 지적 능력으로 자연을 조정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다고 믿었다. 철학자이자 수학자였던 그는 모든 자연 세계는 수학 단위로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하다고 보았다. 공간을 무한하다고 믿었던 데카르트는 무한정 나눌 수 있고 공간의 모든 움직임은 직선에 놓을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은 수학적 좌표와 함수로 기하학적으로 해석하였다. 해석기하학과 함께 규율과 논리를 강조하는 사회상의 영향은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통제와 엄격한 형식을 추구하는 프랑스 기하학식 정원을 탄생시켰다.

기하학식 정원을 창조하고 완성한 것은 위대한 조경가 앙드레 르 노트르(1613~1700)였다. 왕실 정원사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르 노트르는 기하학, 원근법, 드로잉, 건축, 원예술 등 엘리트 조경 교육을 받았다. 그는 공간을 하나의 추상으로 보았으며, 데카르트의 해석기하학을 디자인 도구로 활용, 거대하게 펼쳐진 무한의 공간을 질서 잡힌 기하구조로 통제하였다. 그는 "경관을 설계할 때 인간은 하나의 작은 신으로서 자신을 세운다"라며 정확한 비례에 의한 구성과 의도된 원근법적 시각 구성 등 데카르트의 수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정원에 인간의 의지와 이성을 극적으로 드러나게 하였다. 그의 데뷔작품은 보르비콩트 저택 정원이었다. 보르비콩트는 중상주의 창시자 콜베르 이전의 재무장관이었던 니콜라스 푸케가 3개의 마을을 없애고 건설한 호화로운 대저택이었다. 부케는 예술 애호가로 예술가들이 자신의 기량을 마음껏 발휘해서 창의적인 작업을 할 수 있게 해 줄 수 있는 사람이었다. 덕분에 르 노트르는 첫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철학과 예술적 기량이 그대로 드러난 기념비적인 기하학식 정원을 조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푸케의 화려한 정원은 정치적 라이벌인 콜베르에게는 출세를 위한 공격 거리가 되었다. 마침 신하가 자신의 궁궐보다 더 화려한 정원을 가진 것에 질투하던 루이14세에게 콜베르는 푸케가 공금을 유용하여 보르비콩트를 조성했다며 혐의를 뒤집어씌우고, 푸케는 횡령 혐의로 감옥에 갇히고 그의 재산과 정원의 조각품과 귀한 수목들은 왕실로 몰수되었다.

그러나 파리를 떠나 선대 왕들의 사냥터를 절대왕정의 수도로 조성하고자 했던 루이14세는 '태양왕'의 권위와 통치 철학이 노골적으로 화려하게 드러나는 베르사유 궁전과 정원을 조성하는데 르 노트르를 적임자로 보았다. 르 노트르는 기하학적 원리를 동원, 궁전 앞에 펼쳐진 주축선 중심으로 정원은 완전한 대칭과 균형을 이루며, 광학 및 원근법 법칙에 따라 공간이 무한 확장되는 경관을 연출하였다.

정원의 주축과 이를 가로지르는 여러 개의 횡축과 방사형의 축은 정원에 뚜렷한 질서를 부여하고 있다. 578개의 거울이 장식된 궁전 중앙의 거울의 방에서 정원 정중앙으로 뻗어있는 주축선과 방사축은 마치 빛을 응축시켜 거대한 태양 광선을 쏘는 듯한 모습이며, 정원 내 주요 건물마다 이를 기점으로 축선이 태양의 빛처럼 펼쳐지는 방사축으로 뻗어나가게 되어 '태양왕'의 권위를 상징한다.

2020061201000371000014632
정해준 생태조경학과 교수

화분, 벤치, 조각상에도 태양왕의 상징이 새겨졌다. 궁전의 침실에서는 가장 뛰어나고 완벽한 정원의 조망을 볼 수 있는데, 마치 절대 권력자 왕이 그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전체 사회를 통제하는 듯하다. 자연요소에도 인간의 의지를 반영, 평평한 화단을 만들기 위해서 언덕을 깎아 평지를 만들고, 잔디는 가장자리를 말아 올린 사각형틀 안에 정리되었다. 화단에는 마치 비단 위에 화려한 장식을 수놓듯, 꽃으로 자수를 놓은 것 같은 기하학적 문양의 자수화단이 조성되었고, 자연의 물 또한 기하학적 형태의 작은 연못 안에 담아 형태를 부여하였다. 정원의 축선을 강조하기 위해 나무를 일렬로 모아 심어 마치 녹색 벽과 같은 모습을 하였으며, 가지치기를 심하게 해 인공적으로 다듬어진 형태가 강조되었다. 거대한 십자형의 수로와 수천 개의 분수는 정원의 화려함을 배가시킨다. 숲 내부의 공간에는 파티·연회·발레 등 모든 종류의 행사와 볼거리가 개최되었는데, 이는 이곳에 거주하는 귀족들을 회유하는 수단 중 하나였다.

이렇게 거대한 규모의 정원이 오직 루이14세의 권위를 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베르사유 정원을 '왕을 위한 찬가'라 부르기도 한다. 이렇듯 완벽하게 의도된 기하학적 정원에는 자연은 인간의 지배와 조절을 통해 더 아름다울 수 있으며, 절대권력 왕의 감시와 통제로 이상적 사회가 구현된다는 당시의 문화적 인식이 드러나 있다.

계명대 생태조경학과 교수 hj.jung@kmu.ac.kr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위클리포유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