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용 시인의 세월 산책] 초식동물되기

  • 유선태
  • |
  • 입력 2020-07-10   |  발행일 2020-07-10 제38면   |  수정 2020-07-10
대지의 팔다리가 짐승의 발을 닮은 것을, 땅에 몸을 맡길 때 알게 되었다

2020071001000002100043102
미국의 제2세대 추상표현주의 여성화가인 조안 미첼의 '빈터'.

낡은 사람이고자 한다. 바랜 사람이고자 한다. 땅에 무릎을 꿇고 채소를 뒤적거리며 잡풀을 뽑으며 생각하게 된다. 점점 흙에 가까워지는구나. 점점 대지와 뿌리와 채식과 풀잎의 감각에 가까워지는구나. 사유와 바라봄, 의식과 고정관념들이 땅의 변화에 맞춰지는구나. 나는 조금씩 나에게서 사라지는구나. 내가 아닌 것이 없었던 때가 있었고 내가 없으면 안 되는 세계에 대한 집착이 희미해지기 시작하는구나. 아니다. 손에 잡힌 책이 점점 멀어지면서 문장을 읽을 수 있듯이. 멀어지면서 보이기 시작하는구나. 그런 사람이고자 한다. 옛 어른들이 곡식을 담았던 질그릇 같이 빛바래고자 한다. 어딘가에 있었거나 살았다거나 존재했다고 펄럭거리고 싶지 않다.

성가신 잎새 하나라도 곡해할 이유 없는 생이다. 흙에 무릎이 닳고자 한다. 손으로 흙을 만지면 만 리 밖에 나무들의 뿌리가 닿는다. 손을 흙 속에 넣었다 빼면 손이 만 리 밖 초식 동물의 앞발이 된다. 먹을 풀을 고르고 땅을 헤쳐 뿌리를 먹고 배설물을 파묻는 앞발. 흙에 손을 넣으며 무릎으로 땅을 기며 마당 한편을 일굴 때 피었다 떨어지는 석류꽃의 질감처럼 검고 딱딱한 인생의 흔적이 전부이고 싶다. 더 뭘 바라. 더 뭘! 볼 것 보았고 겪을 것 겪었고 삶에 대해 충분히 고뇌했거늘 더 뭘 바라.

풀밭을 살았더니 가을이 왔고 풀밭을 응시했더니 겨울에 닿았다. 풀밭에 발이 닿고 초식동물처럼 발이 닿으면 고대의 짐승들과 어린 풀들 갑각류들이 발바닥 밑으로 흘러가고 있었다. 봄을 넘어 믿음 바깥의 대지까지. 이상과 상상의 세계 너머에까지 풀들과 어린 초식동물과 풀꽃들과 날개 달린 풀피리 같은 새들이 발밑으로 달려가고 있다. 어린 날들의 미래처럼 신선한 공기도 함께 흘러갔다. 그래, 그런 흐름으로 그렇게 무릎이 땅에 닿아 식물들 가지 밑을 기어 다니면서 어린 풀들을 다루고 흙을 보충하고 습기를 다루고 잎새의 건강과 꽃의 과정을 더듬으면서 마침내 짐승의 걸음을 이해하게 된다.

2020071001000002100043101

이끼를 먹는 동물에서 토란잎을 먹는 몸이 뚱뚱한 동물들의 걸음걸이를 체득하게 되고 마침내 내가 바라는 까마득한 바위 절벽을 걸어 다니는 산양의 몸을 얻어서 땅을 떠나 산으로 산을 떠나 벼랑으로 벼랑에 발을 딛고 살고 죽는 '초식동물되기'.

마당이나 담 밖 빈터를 응시하거나 호미로 일굴 때. 무릎으로 먼저 땅에 인사하고 땅에 몸을 맡길 때. 알게 되었다. 초식동물이 되어가던 아버지와 어머니와 큰어머니와 이웃의 형제와 마을의 노인들을. 점점 그렇게 나도 추상화가 그려놓은 그림 같은 대지에 팔 다리가 짐승의 발을 닮는 것을.

포스트 밥 색소폰의 정수. 난해함 안에 리얼리즘. 인간의 고뇌와 다층적인 이미지. 딱딱하며 비인간적인 메마른 정서 속에. 밝기와 어두움. 이야기와 이미지. 색조와 음양. 서정이 혼재된 웨인 쇼터의 색소폰은 일반적인 색소폰 재즈에서의 부드럽고 로맨틱한 상식을 깬다. 더불어 조안 미첼의 그림에서도 충분히 재즈적인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빈터'를 바라본 혹은 상상한 화가의 그림은 다양한 해석과 이미지를 감상자에게 드러낸다. 어떤 해석의 이미지 상상이든 모든 것은 그림을 감상하는 이의 몫이다. 더불어 웨인 쇼터의 색소폰도 그러하다. 거칠고 난해하고 진지함이 온다면 기꺼이 마지막까지 들어볼 일이다. 익숙한 것에서 달아나지 않으면 익숙한 것에 갇혀 버린다. 그러면 얼마나 심심한 인생인가.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위클리포유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