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금통위 '베이비스텝' 유력…내년 성장전망 1%대로 낮출수도

  • 입력 2022-11-24 09:08
첫 6회연속 기준금리 인상 임박…자금경색·경기불안에 빅스텝은 피할 듯
내년 성장률 전망치 2.1%→1%대 후반∼2% 하향조정 가능성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4일 오전 9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3.00%인 기준금리의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경제·금융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5%대에 이르는 소비자물가, 1%포인트(p)로 벌어진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 등을 고려해 금통위가 다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예상대로 이날 베이비 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이 이뤄지면, 4·5·7·8·10월에 이은 사상 첫 여섯 차례 연속 인상이다.


시장과 전문가들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무게를 두는 것은, 무엇보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뚜렷하게 줄지 않았기 때문이다.


10월 소비자물가지수(109.21)는 작년 같은 달보다 5.7% 올랐다. 상승률이 7월(6.3%) 정점 이후 8월(5.7%), 9월(5.6%) 떨어지다가 석 달 만에 다시 높아졌다.


앞으로 1년의 물가 상승률 전망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일반인)도 11월 4.2%로 10월(4.3%)보다 낮아졌지만, 7월 역대 최고 기록(4.7%) 이후 다섯 달 연속 4%대에서 내려오지 않고 있다.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이례적 4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 탓에 1%포인트까지 벌어진 한국(3.00%)과 미국(3.75∼4.00%)의 기준금리 차이도 한은의 인상을 압박하고 있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 화폐)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 미국과의 격차는 일단 0.75%포인트로 좁혀지지만, 다음 달 연준이 최소 빅 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만 밟아도 격차는 1.25%포인트로 다시 확대될 전망이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금 물가만 놓고 본다면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이 크다"며 "더구나 연준이 12월에 또 기준금리를 올리면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질 우려까지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10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빅 스텝을 밟을 만큼 긴박한 긴축이 필요한 상황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 초중반까지 떨어진데다, 미국이 12월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이 아닌 빅 스텝에 그치며 통화 긴축 속도 조절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채권시장 등에 여전히 남아있는 자금·신용 경색 위험, 갈수록 뚜렷해지는 경기 하강 추세 등도 한은 입장에서 부담이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10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7.7%) 발표 이후 시장에서는 미국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지난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며 "이에 따라 12월 연준의 금리 인상 폭이나 최종 금리 상단 수준, 인하로의 전환 시기 등을 포함해 전반적으로 미국의 통화 긴축 강도가 약해질 것이라는 기대도 커졌고, 한은도 이런 분위기를 고려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더구나 레고랜드 사태 이후 나타난 채권시장, 자금시장의 불안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라며 베이비스텝에 무게를 뒀다.
한은은 이날 금통위 회의 후 수정 경제 전망도 내놓는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1.7∼2.0%를 제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2.1%(8월 전망치)보다 0.1∼0.4%포인트 낮을 뿐 아니라, 2020년 역(-)성장 이후 최저 수준이다.


조 위원은 "내년 글로벌 경기 하강으로 수출이 둔화하고 설비투자가 위축되는 데다, 소비도 기대만큼 좋아지기 힘들 것"이라며 "부동산 경기로 미뤄 건설투자도 부진할 텐데, 그렇다고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도 기대할 수 없다. 경기가 좋아질 요소가 하나도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경기가 가라앉으면 물가 압력도 줄어드는 만큼,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예상치 역시 기존 3.7%보다 0.1∼0.2%포인트 하향 조정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연합뉴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