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4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타운홀미팅 때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을 국가사업으로 해달라는 주호영 국회부의장의 건의에 대해, "전에 집권했을 때 하시지 그려셨어요"라는 뼈 있는 농담을 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실현 가능하도록 검토하겠다"면서도 "쉽게 약속하긴 어렵다", "오늘 의제로 안 삼은 것은 아직은 충분히 준비가 안돼 답변을 못 드린다"는 등의 말을 했다. TK신공항 건설을 국가사업으로 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줬다.
이 대통령의 농담 속에는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이 새겨들어야 할 메시지가 있다. 이 대통령의 발언은 국민의힘 정부 때 왜 국가사업으로 추진하지 않았느냐고 대구를 비꼬는 말이 아니라, 정책추진의 일관성과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의 책임을 묻는 말로 받아들여야 한다. 대구정치권이 절대적인 지지를 보냈던 윤석열 정부 시절에는 국가사업의 적극적 요구는 없었다. 대구시는 '기부 대 양여' 방식에 매달리다가 안되자 '공공자금관리기금' 지원을 요구했고, 이도 여의치 않자 지역 정치권에서 국가사업화 요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이후 그런 요구가 나온 것인 만큼, 국민의힘 집권 때는 가만 있다가 정권이 바뀌니 국가사업으로 해달라 하느냐는 지적을 대구사회는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우선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드러난 미흡함을 솔직히 인정해야 한다. 국민의힘 시장만 있었던 대구에서 박근혜·윤석열 정부때 TK신공항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을 반성한 뒤, 국가사업화를 요구해야 한다. 지역민에게 현실을 있는 대로 알리고, 향후 계획을 진솔하게 설명하며 신뢰도 쌓아야 한다. 지역내 이해관계를 조정할 주체로서 역할 도 충실히 해야 한다. 그래야 TK신공항 건설을 국가사업으로 끌어올리는 동력이 될 수 있다. 냉정하게 따지면 TK신공항 건설의 국가사업화 요구는 충분한 명분이 있다. 대구 군공항 이전사업의 본질은 대구시 편의사업이 아니라 국가 안보와 직결된 국가사무다. 그래서 군공항 이전 비용을 대구에 떠넘기는 것은 '나라의 갑질'이라는 주호영 의원의 지적이 맞다. 따라서 TK신공항은 이제 명확히 국가가 책임지는 사업으로 전환돼야 한다.
TK신공항은 단순한 공항 건설을 넘어 물류·산업·관광이 결합된 대구경북의 미래 성장 거점이다. 대구경북의 100년 먹거리를 좌우할 핵심 인프라이고, 국가균형발전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사업구조가 재설계돼 정부 재정이 직접 투입되야만 완공될 수 있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올바른 방향으로 가야 한다. 책임은 인정하되 추진은 계속돼야 한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TK큐] 장애인 이동권 경계를 허물다, 스웨덴 휠체어 장애인의 하루](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10/news-m.v1.20251022.9c488fa6cf5240fba9110365d87324a3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