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업은행-데이터진흥원, 대구유치 공공기관 도심에 배치

  • 논설실
  • |
  • 입력 2025-11-07 07:35  |  발행일 2025-11-07

대구시가 정부의 공공기관 추가 이전 움직임에 발맞춰 지난 5일 '대구지역 공공기관 2차 이전 유치위원회(공동위원장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김사열 경북대 명예교수)'를 출범하고 유치 작업에 나섰다. 공공기관 이전은 2005년 노무현 정부 때 시작돼 지난 2019년 1차 이전이 완료됐다. 대구지역에는 한국장학재단,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등 교육기관을 주축으로 한국부동산원, 한국가스공사 등 12개 기관이 동구 신서동 혁신도시(119구조본부는 달성군)에 배치됐다. 혁신도시는 자족도시 기능에는 미흡하지만, 지역에 고급 일자리를 늘리고 인구 유입에 일정부분 기여했다는 평가다.


대구시는 2차 공공기관 유치전에 나서면서 대구의 강점인 교통, 교육, 의료 분야를 앞세워 지역 청년들이 선호할 직업군을 창출하겠다는 목표다. 이미 점지한 특정 기관도 눈에 띈다. 박양호 대구정책연구원장은 최근 언론인 포럼에서 "1차 이전 기관중 대구에 가장 파급효과가 높았던 곳이 신용보증기금으로 분석됐다"며 신보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기관으로 IBK기업은행을 꼽기도 했다. 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도 후보군이다. 일각에서는 1차 교육분야에 이어 2차에는 의료분야를 타깃으로 하자는 안도 나오고 있다. 이미 혁신도시에 둥지를 튼 'K-MEDI HUB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재단'과 함께 할 국책 보건의료기관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이다. 여기다 경북대병원 확장 이전이 포함된 의료클러스트를 공공기관 이전과 별도로 정부에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2차 공공기관 이전은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약속한 바 있다. 정부는 최대 300개에 이르는 수도권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2026년 이전 로드맵을 마무리하고, 2027년부터 청사 확보에 나서 가급적 신속히 이전한다는 방침이다. 유념해야 할 부분도 있다. 1차 공공기관 이전이 파급효과 측면에서 기대에 못미쳤다는 분석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신도시 건설에 집착해, 기존의 구도심과 엇박자를 내면서 도시 공동화를 초래했다는 비판이다. 도시외곽이 아닌 도심내 부지나 건물을 매입해 신축하는 방식이 제안되는 이유다. 공공기관 직장인들이 도심 문화시설을 향유하고, 지역민과 신속히 동화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 해소는 대한민국이 풀어야 할 숙원 과제다. 공공기관 이전은 격차 축소의 중요한 수단이다.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사활을 걸고 유치전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는 지역특성을 면밀히 추출해 2차 이전 대상을 선택하고, 시민의 중지를 모아 유치전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