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 나면 온몸이 쑤신다는 엄마…혹시 섬유근통?

  • 임호
  • |
  • 입력 2016-05-03 07:24  |  수정 2016-05-03 07:33  |  발행일 2016-05-03 제19면
20160503


온몸 뻣뻣하고 두통·피로감·불면증
특별한 이유없이 3개월 지속 땐 의심

스트레스·외상후유증 등 원인 추정
여성환자가 남성보다 7배가량 많아
유산소운동·약물치료·명상이 도움

의학전문대학원에 최근 입학한 늦깎이 학생 이모씨(35)는 몇 개월 전부터 서서히 몸이 쑤시고 아프더니 급기야 아침마다 손이 붓고 뻣뻣해지고, 일어나기도 힘들 정도로 몸이 무거워졌다.

우리 몸에 이상을 알려주는 지표로서 통증만큼 확실하고 명확한 증상은 없다. 원인 없는 결과가 없듯이 인체가 나타내는 증상에는 그 유발 원인이 있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다. 그런데도 우리 몸에 나타나는 통증에 특별한 원인이 될 만한 이유를 하나로 딱 꼬집어 말할 수 없다면 의사나 환자나 답답하기는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러한 질환 중에 하나가 섬유근통이 아닐까.

섬유근통은 전 인구의 3% 이상이 가지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지만, 일반검사에서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주변인들로부터 꾀병으로 오해받으며 고통 속에 살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통증은 참는 것’이라는 우리나라의 고유정서가 섬유근통 환자들의 병세를 더욱 악화시킨다. 참을 수 없는 전신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도 있지만 단지 나이가 들어 생기는 증상이려니 하고 일단 참아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섬유근통을 의심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3개월 이상 전신 통증이 지속되거나 눌렀을 때 아픔을 특히 강하게 느끼는 부위 발생, 만성피로, 잦은 두통, 안구건조, 심한 생리통(여성), 수면장애 등이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서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 진단은 임상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전문의사의 문진과 신체진찰이 진단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류머티즘 관절염 질환에는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병이 많아 스스로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은 위험하다. 아직까지 섬유근통을 진단할 수 있는 특이적인 혈액 검사는 없지만, 각종 검사를 통해 류머티즘 관절염을 포함한 염증성 자가면역질환, 통풍, 갑상선 질환, 종양 등 다른 질환이 아님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60503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보다 7배가량 많지만 남성도 예외는 아니다. 원인은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환경적·심리적 스트레스, 교통사고 같은 외상 후, 몸 속에서 통증을 일으키는 자극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예민하게 반응하여 병이 오는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실제로 통증이 심한 부위의 근육이나 관절을 조사해보면 염증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고, 최근에는 아마도 수면 장애와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신경 전달 물질의 불균형과 혈중 아미노산의 이상, 성장호르몬의 이상조절, 자율신경계의 부조화 등이 그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섬유근통의 치료를 위해서는 약물과 더불어 운동이 강조된다. 운동이 섬유근통에 좋다는 사실은 정작 섬유근통 환자에게는 별 희망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가만히 있어도 몸 전체가 쑤시고 늘 피곤하게 느껴지는 판국에 운동은 엄두도 나지 않기 때문이다. 힘들더라도 하루 5분에서 시작하여 하루 20~30분씩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처음부터 본인의 몸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운동(통증이 매우 심한 환자가 처음부터 에어로빅을 1시간씩 하는 경우)은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 통증이 아주 심한 경우는 우선 약물치료로 증상을 어느 정도 다스린 후에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은 유산소 운동이 적합하며 운동 시간은 오후 늦은 시간, 이른 저녁이 효과적이다. 불면증이 있는 경우 자기 직전에 운동을 하게 되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그 외에도 통점주사치료 및 인지행동치료 등이 증상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정과 직장에서 일상의 계획을 적절히 세워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것 또한 중요하며, 틈틈이 심호흡과 명상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긴장을 푸는 것이 좋다. 여러 방면으로의 노력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환자 본인이 이 질환을 극복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는 마음가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 도움말=동산병원 류마티스 내과 김지민 교수

기자 이미지

임호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건강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