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천시 농소·남면 일원에 인구 2만6천여명이 거주하는 자족기능을 갖춘 복합도시로 건설되는 김천혁신도시 공사현장. 31일 한국도로공사가 신사옥 건축공사를 하고 있는 모습. |
2014년 완공되는 김천혁신도시 조성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지만, 인구유입 대책이나 기존 시가지 공동화 등 현안은 여전히 숙제로 남았다.
김천혁신도시는 현재 이전해 오는 12개 공공기관 가운데, 임차 사옥에 입주하는 한국건설관리공사를 제외하고 한국도로공사, 교통안전공단,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한국전력기술<주> 등 9개 기관이 사옥을 건립 중이다. 한국법무보호공단 등 2개 기관은 연말까지 착공할 계획이다. 이들 공공기관의 직원 수는 5천여명이다.
김천혁신도시는 전국 10개 혁신도시 가운데 유일하게 KTX역(김천(구미)역)을 두고 있고, 최근 경부고속도로 동김천나들목이 개통됨에 따라 전국 주요 도시와 1~2시간 거리에 연결되는 교통 요충지다.
김천시는 혁신도시에 2만6천여명이 상주할 것으로 보고 이에 따른 주택건립과 초·중·고 개교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당장 혁신도시에 생명을 불어넣을 상주인구 유치에 비상이 걸렸다. 한국도로공사가 지난해 직원 1천46명 중 4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혁신도시에 본인만 이주하겠다고 대답한 직원이 53%에 달했다.
40% 정도는 본인이 이주를 하더라도 가족과 합류하는 시기를 3년 후쯤으로 보고 있었다.
가족과 함께 이주하지 않겠다는 이유로 △36%가 자녀교육 △27%는 맞벌이 △26%는 교육문화 수준 때문으로 꼽아 ‘2만6천여명이 거주하는 혁신도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상주인구를 김천시민으로 채울 경우 기존 도심의 공동화 현상도 우려된다.
김철수 계명대 도시계획학과 교수는 “공공기관 직원가족 이주를 촉진하기 위해 김천시가 많은 공을 들이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주 가족에 대해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김천시의 경우 대도시와 연접해 있지 않아 인구유치에 어려움이 많을 것”이라며 “중앙정부와 경북도에서 보완해 줘야겠지만 김천시가 주변의 구미·상주시와 산학연 클러스터 등을 조성해 상생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김천시와 구미시는 도시의 연담화도 염두에 두고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등 적극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이에 앞서 3개 지역 주민의 정서적인 접근을 위해 접점지역에 레저 및 스포츠시설을 마련해 유대를 강화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글·사진=김천 박현주기자 hjpark@yeongnam.com

박현주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