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개가 나온다 카더라. 먼 소리고, 안 나온다고 카던데.”
또 선거철이 다가왔다. 최근 봉화지역은 다가오는 6·4 지방선거가 최고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삼삼오오 주민이 모인 자리에선 ‘누가 나오고, 누가 당선돼야 하고, 누군 당선 가능성이 없고’를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기초단체장을 비롯한 광역의원, 기초의원에 출마하는 후보자도 이미 지난해부터 물밑 작업에 들어가,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의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는 오는 3월23일부터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들어갈 전망이다.
봉화의 경우 현재 기초단체장은 자천타천으로 박노욱 봉화군수를 포함해 3명의 후보가, 1명을 뽑는 광역의원도 3명의 후보가, 기초의원은 지역구별로 많게는 10여명의 후보가 출마할 것으로 예상돼 앞으로 4개월가량은 최고의 화젯거리가 될 것이다.
지금까지는 선거 과열 양상이 보이지 않지만 후보자 등록, 정당 공천 문제와 각종 여론조사를 거치면서 언제 과열될지 살얼음을 밟는 형국이다. 돌이켜보면 지금까지 봉화지역에서 선거는 한 집단의 대표를 뽑는 축제의 장으로 승화되기보다는 갈등과 분열, 반목과 질시를 가져왔다. 심지어 ‘돈 선거 지역’이란 오명까지 쓰고 있다. 안타까운 대목이다.
2012년 4·11 총선에서 한 예비후보자 선거사무소 개소식에 참석한 주민들이 향응을 제공받은 혐의로 3천만원가량의 과태료 폭탄을 맞았다. 이에 앞서 2006년 5·31 지방선거에서도 봉화주민 130여명이 당선자의 선거운동원으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로 무더기로 기소돼 5천만원가량의 벌금형을 선고받아 전국적인 망신을 당하고, ‘상습 선거법 위반 지역’이란 오명을 뒤집어썼다. 이런 사태까지 불러온 것은 정책을 후보선택의 최우선 기준으로 두지 않았던 유권자와 금품과 향응 제공으로 선거에 당선되려 했던 후보자 모두의 책임이다.
‘선거에 나오려면 돈을 써야 한다’는 것이 당연히 여겨지는 풍토가 아직까지도 남아있다. 2010년 경북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면접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6·2 지방선거 때 지역 유권자 2명 가운데 1명이 지방선거 때 ‘금품이 오갔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55.9%)는 조사 결과가 이 같은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의 봉화지역의 구태의연한 선거문화는 유권자, 후보자와 더불어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유권자와 후보자 모두가 바뀌지 않고는 봉화의 미래가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다가오는 6·4 지방선거에서는 구태를 타파하고 반칙과 변칙을 질타하며, 편법과 위법을 후보자와 유권자 모두가 감시해 봉화가 ‘돈 선거 지역’이란 오명에서 벗어나는 좋은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후보자와 유권자 모두에게 투표라는 성스러운 권리와 의무를 몇 푼의 돈으로 매매하지 않고, 양심을 저버리지 않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
봉화=황준오 2사회부 기자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