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재원 의원 |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선거구 조정 대상 지역구의 현역 의원이 “복합 선거구가 유지될 것”이라고 밝혀, 선거구 획정을 둘러싼 여러가지 추측이 나오고 있다.
김재원 의원(군위-의성-청송)은 지난 13일 군위에서 열린 의정보고회에서 “우리 지역구가 공중분해 돼 뿔뿔이 흩어진다는 소문이 있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며 “내년 총선에서 복합 선거구는 가르지 않는다는 게 원칙으로, 우리 같은 지역구는 통째로 인구가 모자라는 인근 지역과 병합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군위-의성-청송’ 선거구는 ‘영천’과, ‘문경-예천’ 선거구는 ‘영주’와, ‘김천’ 선거구는 ‘상주’와 병합될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혁신도시가 조성중인 ‘김천’의 인구가 증가해 인구 하한(13만8천984명)을 넘어서면 ‘군위-의성-청송’이 ‘영천’이 아닌 ‘상주’와 합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지역구 최대·최소 인구 편차를 3대 1에서 2대 1로 줄여야 한다’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경북(15개 선거구)에서는 인구 하한에 미달되는 선거구가 전국에서 가장 많아 조정이 불가피하다. 김 의원의 지역구인 ‘군위-의성-청송’을 비롯해 ‘영주’(장윤석 의원), ‘문경-예천’(이한성 의원), ‘상주’(김종태 의원), ‘영천’(정희수 의원), ‘김천’(이철우 의원) 지역구 6곳이 대상이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국회의원 수 축소를 최소화 하기 위해 이들 선거구가 인근 선거구와 합치거나, 지역별로 나뉘어 병합하는 과정을 거쳐 경북 전체에서 2개 선거구를 축소하는 방안이 가장 많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김 의원의 주장대로 복합선거구가 유지되면 경북지역에서는 3개 선거구가 사라져 대구와 같은 12개 선거구만 남게 된다. 따라서 김 의원의 이번 발언은 여러가지 정치적 해석을 낳고 있다.
그동안 지역에서는 김 의원의 지역구 ‘군위-의성-청송’이 모두 분리돼 인근 다른 선거구에 흡수되는 관측이 높았다. 하지만 당사자인 김 의원이 이날 공식적으로 이를 부정함과 동시에 대안을 제시함에 따라 새누리당 안팎에서 선거구 획정을 둘러싼 그물망이 새로 짜여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까지 나오고 있다.
김 의원은 ‘복합 선거구 유지’ 발언이 논란이 되자 15일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주민들이 동요하지 않도록 분위기를 말씀드린 것”이라고 한 발 물러섰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