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성 심장질환 돌연사 급증…“변이형 협심증, 신경성·위장관계 질환으로 오진 쉬워”

  • 임호
  • |
  • 입력 2017-07-25 07:45  |  수정 2017-07-25 07:45  |  발행일 2017-07-25 제19면
변이형 협심증 ‘심신 안정됐을때 흉통’
경련 장시간 지속땐 사망에 이를수도
새벽녘 흉통 빈발하면 전문의 진료를
“협심증, 관상동맥조영술이 가장 정확”
허혈성 심장질환 돌연사 급증…“변이형 협심증, 신경성·위장관계 질환으로 오진 쉬워”
심장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허혈성 심장질환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128채널 MSCT를 찍고 있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경북지부 제공>
허혈성 심장질환 돌연사 급증…“변이형 협심증, 신경성·위장관계 질환으로 오진 쉬워”

최근 심장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허혈성 심장질환에 의한 돌연사가 급증하고 있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하나인 안정형 협심증은 주로 ‘조인다, 압박한다, 뻐근하다’ 혹은 ‘쥐어짠다’와 같은 통증이 동반된다. 위치는 앞가슴이나 왼쪽 가슴이 흔하며, 종종 왼팔이나 목 주변, 등까지 통증이 퍼지는 방사통을 느끼기도 한다. 지속시간은 10분 미만 정도로 육체활동·스트레스·추위에 의해 통증이 시작되거나 악화된다. 휴식과 안정을 취하면 완화되며 니트로글리세린이라는 약을 혀 밑에 넣으면 몇 분 이내에 통증이 사라진다.

협심증은 심장 근육의 혈액순환을 담당하는 관상동맥의 내경이 좁아지는 것이 원인이다.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원인은 주로 혈관의 죽상 동맥경화다. 이는 혈관이 굳어지며 혈관 내벽에 플라크라는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이른다. 이상지질혈증·흡연·고혈압·당뇨병·비만·스트레스·운동 부족에 의해 촉진되며, 심장병의 가족력이 있을수록, 나이가 들어갈수록 더 많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비록 흉통이 협심증의 특징과는 거리가 있을지라도 죽상 동맥경화의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 병원을 찾아 검사할 필요가 있다.

협심증 진단을 위해서 기본적인 심전도 검사와 심장 초음파,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 24시간 생활심전도(홀터 모니터)검사, 관동맥 CT 등이 도움이 된다. 가장 정확한 진단방법은 심장 혈관을 직접 촬영하는 관상동맥조영술을 통해 어느 혈관이 얼마나 좁아져 있는지 혈관의 협착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협심증으로 진단됐을 때 이를 치료하는 방법은 약물요법, 경피적 중재시술 치료, 수술적 치료(관상동맥 우회술)로 나눌 수 있다.

약물 치료는 심근의 산소 소모량을 줄여 협심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베타차단제를 사용한다. 이 약제는 서맥이나 저혈압·천식의 악화·당뇨의 악화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약제를 투여하면서 부작용 여부를 세밀히 관찰해야 한다. 약물요법으로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거나 여러 개의 관상동맥이 막혔거나 심장기능이 저하됐을 경우 스텐트 삽입술이 권고된다.

변이형 협심증의 경우 일반 협심증과는 다르게 심신이 안정됐을 때에만 흉통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밤, 또는 새벽녘 혹은 아침에 눈을 떴을 때다. 낮에는 일을 하거나 심한 운동을 해도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통증은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비전형적인 증상으로 인해 변이형 협심증이라고 하는데, 흔히 신경성이나 위장 관계 질환으로 오진되기 쉽다.

변이형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심한 혈관 경련이 주된 원인이며,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흉통이 많이 생기는 이유는 밤 동안 안정돼 있던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깨지면서 혈관의 수축 정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흡연이나 과음 등은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리거나 손상시키므로 혈관 경련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부분 약물치료에 반응이 좋다. 하지만 관상동맥 경련이 장시간 지속되면 심근경색증이나 악성 부정맥 등이 동반돼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새벽녘에 흉통이 빈발하면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변이형 협심증은 일반적으로 경련을 예방하는 니트로글리세린제제 또는 칼슘차단제와 같은 약물치료로 대부분 증상 없이 지낼 수 있다. 증세가 발생하더라도 금방 호전되는 편이며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0~97%로 다른 일반적인 협심증에 비해 매우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꾸준한 투약 후 경련이 발생하지 않으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투약을 줄이거나 중지할 수도 있다.

관상동맥에 협착이 있고 관상동맥 내강에 돌출된 죽종(동맥의 벽에 세포 부스러기, 콜레스테롤, 지방산, 칼슘, 그리고 다양한 결합조직이 쌓여 커진 것)이 파열되거나 출혈이 생기면 협착 부위에 심한 혈전이 형성된다. 심근경색은 이런 상황에 혈관이 완전히 폐색되어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는 심장 근육이 괴사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흡연자는 관상동맥 협착 없이 혈관을 완전히 막는 큰 혈전으로 인해 급성심근경색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주된 증상은 참을 수 없는 심한 흉통으로, 수분 이내에 가라앉는 다른 협심증의 통증과는 달리 심근경색증의 통증은 20분에서 수 시간 동안 지속된다. 때로는 발한·오심·호흡 곤란 등을 동반하며 소화장애·기절·혼수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일부 환자들은 통증을 느끼지 않고 소화가 안 되거나 숨이 가빠지는 것처럼 느끼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 돌연사로 나타나기도 한다. 초응급질환으로 심전도상 이상이나 심근효소 검사, 심초음파 검사 등에서 이상을 보일 수 있으나 증상 발현 초기에는 정상일 수도 있어 의심되면 곧바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심근경색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혈관을 빨리 열어 죽어가는 심장근육을 되살려야 한다. 진단되면 90분 내에 스텐트를 이용, 막힌 혈관을 여는 일차성 스텐트 삽입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 시술로 인정받고 있다. 경우에 따라 혈전용해제를 이용해 약물 치료를 하기도 한다. 급성 심근경색인 경우 심한 근육 손상을 동반하므로 즉시 병원에 도착해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 도움말=한국건강관리협회 경북도지부

기자 이미지

임호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건강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