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6일 경북 구미센츄리호텔에서 열린 '대구·경북 상생 심포지엄'에서 토론자들이 토론을 펼치고 있다. |
대구경북행정통합은 대구와 경북의 '1대 1 대등 통합'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나중규 대구경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6일 경북 구미센츄리호텔에서 열린 대구·경북상생심포지엄에서 대구와 경북을 특별자치도 형태로 행정통합해야 한다면서 이 같이 주장했다.
나 위원은 "대구경북특별자치도는 대구·경북 지역에 설치되는 새로운 광역자치단체로, 기존보다 폭넓은 자치권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특혜를 포함한다"며 "한쪽의 흡수가 아닌 기존 권한과 지위를 유지하거나 상향하는 방식의 1대 1 대등통합의 기본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광역자치단체인 경북도와 대구시는 원칙적으로 폐지하고, 경북 23개 시·군과 대구 8개 구·군은 존치하되 자치구 또는 특례시 형태로 통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통합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대구·경북은 1981년 독자 생존의 자신감을 바탕으로 행정을 분리했다"며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일자리와 인구 감소세가 지속돼 경쟁력이 저하됐고 최근 코로나19로 큰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대구·경북은 딴 살림으로는 생존이 불가능한 상황이 됐다. 대구의 중추도시 파워와 경북의 무한 잠재력을 하나로 모아 '초광역 도시권'을 구축해야 한다"며 "특히 4차 산업혁명 생태계를 구축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산업 발전을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3대 경제권과 2개 포트(Port), 그리고 과제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그는 "인구 550만명으로 남한 면적의 20%를 차지하는 대구경북특별자치도가 대구·구미 등 혁신성장 경제권, 포항·경주 등 해양에너지 경제권, 영주·영양 등 청정자원 경제권 등 3대 거점 경제권과 통합신공항·포항영일만신항이라는 2개 포트를 갖추면 충분히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구·경북 4대 긴급과제로는 △포스트 코로나 대응 대구·경북 경제산업발전방안 △대구·경북형 일자리 모델 구축 △대구·경북 상생형 인구정책 선도 △대구·경북 상생 관광 추진을, 2대 선결과제로는 △대구·경북 공항 경제권 구축 △대구·경북 행정통합 기본구상을 제시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는 장세용 구미시장, 이재하 대구상의회장, 조정문 경북상의협의회장, 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 등이 참석했으며 최운백 대구시 경제국장, 김호진 경북도 일자리경제실장, 조정일 대구테크노파크 산업정책실장, 김상곤 경북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등이 토론에 나섰다.
글·사진=조규덕기자 kdcho@yeongnam.com

조규덕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