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논란…경주 민간감시기구 직접 조사

  • 송종욱
  • |
  • 입력 2021-01-15  |  수정 2021-01-14 15:50  |  발행일 2021-01-15 제8면
민간환경감시기구 "지난해 7월까지 주민 대상 검사서 특이점 없었다"

주낙영 위원장 "감시기구 주도 민관 합동조사단 조사로 우려 종식"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논란…경주 민간감시기구 직접 조사
경주시 양남면 월성원자력본부 월성 1~4호기 전경. <월성본부 제공>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 논란과 관련해 경북 경주시월성원전·방폐장민간환경감시기구(이하 민간감시기구)가 직접 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민간감시기구는 지난 13일 오후 경주 양북면에서 민긴감시기구에서 임시회의를 열어 시민 의혹을 불식하기 위해 민간감시기구 주도로 철저히 조사하기로 했다.

한국수력원자력<주> 월성원자력본부는 14일 한수원 자체 조사에서 2019년 4월 월성 3호기 터빈 건물 하부 지하수 배수로 맨홀에 고인 물에서 ℓ당 71만3천㏃(베크렐)의 삼중수소가 검출됐다.
이 수치는 배출관리기준인 ℓ당 4만㏃을 훨씬 넘는다.

월성본부는 배수관로에 고인 물을 액체 방사성폐기물 처리계통으로 모두 회수했다고 밝혔다.
이후 유입된 물 삼중수소 농도는 기준치 이내인 약 1만㏃/ℓ 정도다.

한수원 측은 배수로에 고인 물에서 왜 고농도 삼중수소가 검출됐는지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일부 환경단체는 "오염이 인근 주민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확인되지 않고 있다"라고 주장하고, 한수원 측은 "월성원전 주변 삼중수소 농도는 법이 정한 수준보다 훨씬 낮은 상태로 운영하고 있다"라고 맞서고 있다.

민간감시기구는 2018년 11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원전 주변 지역 주민 484명(양남 160·양북 163·감포 161명)을 대상으로 한 체내 소변 검사에서 삼중수소 농도는 평균 3.11㏃/ℓ, 최대 16.3㏃/ℓ로 나타났다.

또 대조군(경주 도심 148·울산 북구 149·서울시 150명)의 검사에서 삼중수소 농도는 평균 1.75㏃/ℓ, 최대 11.2㏃/ℓ로 나왔다.


이 중 최대 삼중수소 농도 16.3㏃/ℓ은 1년간 체내 기관이나 조직에서 받는 피폭선량으로 평가하면 0.00034m㏜(밀리시버트)로 연간 일반인의 선량한도 제한치 1m㏜에 크게 못 미치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 조사 결과는 월성본부가 밝힌 격납고 감압설비 공사 중 차수막 손상을 인지한 2018년 8월 이후 행한 검사다.


민간감시기구는 이번 논란과 관련해 주민이 피해를 보았는지 알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런 설명에도 시민 불안이 확산하는 만큼 민간감시기구가 주도하는 민관 합동조사단을 구성, 조사해 우려를 없애기로 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월성원전 부지 내 지하수 삼중수소 검출 언론 보도와 관련해 시민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라며 "민간감시기구가 주도하는 객관적이고 철저한 조사를 통해 시민의 우려가 조기에 종식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송종욱

경주 담당입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