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육박물관, 대구 서문시장 이전 100주년 기념 전시 개막

  • 박종문
  • |
  • 입력 2022-12-24 13:35  |  수정 2022-12-24 13:36  |  발행일 2022-12-26 제23면
기획전시 '장터에 담긴 100년의 역사-대구 큰 장 서문시장'전 2023년 4월 30알까지 대구교육박물관 기획전시실서 전시
서문시장의 과거와 오늘 조명, 시장상인들의 삶과 애환 담아
가족체험존도 마련, 다채로운 전시 눈길
KakaoTalk_20221224_122539972_18
대구 교육박물관 '장터에담긴 100년의 역사-대구 큰 장 서문시장' 전시장 입구.

대구교육박물관은 지난 12월 23일 기획전시실에서 '대구 큰 장 서문시장 100년' 개막식을 가졌다.

이날 개막식에는 정병우 대구동부교육지원청 교육장, 이철구 대구서부교육지원청 교육장, 김기호 대구남부교육지원청 교육장, 이두희 대구달성군교육지원청 교육장, 윤일현 대구교육박물관 운영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김정학 대구교육박물관장은 "내년이면 서문시장이 현재의 자리로 이전한 지 100주년이 된다"면서 "이번 전시를 통해 학생들에게는 서문시장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고 나이드신 분들에게는 옛 추억을 되살릴 수 있도록 온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전시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KakaoTalk_20221224_122539972_21
2022 대구교육박물관 기획전시 '장터에 담긴 역사 100년의 역사-대구 큰 장 서문시장'전 개막식 주요 참가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서문시장의 과거, 현재를 살펴볼 수 있도록 매우 다채롭게 꾸며졌다.

입구에는 '장시(場市)의 발달과 서문시장의 형성'이라는 테마로 15세기 조선시대 장시 형성이 시작되고 대구 성벽 북문 밖 서문시장의 전신인 작은 장터인 '대구장'이 17세기 후반 성곽 서쪽으로 자리를 옮기게 된 경위를 살펴볼 수 있다. 18세기 대동법(大同法) 실시로 시장이 확산되고 대구 성곽의 서쪽에 있다고 해서 서문시장으로 불리게 됐다는 설명을 만난다.

과거 서문시장 상인들이 사용하던 돈통, 지승다박위(새끼줄), 주판, 짚신, 담뱃대, 갓 등이 전시돼 있다.

KakaoTalk_20221224_122539972_11
서문시장 상인들이 사용하던 갖가지 물건들이 전시돼 있다.

또 서문시장의 과거에 대한 기록 자료, 전국 최대 의류 도매시장으로의 성장 과정과 잇따른 화재로 인한 수난, 이를 극복한 상인들의 노력 등도 살펴 볼 수 있다.

서문시장 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도 담았다.대덕주단 김주란 대표, 대신재단 이세영 대표, 신주떡방의 젊은 사장 김용현·박선주씨가 서문시장과 인연과 지금의 삶과 애환을 이야기 한다.

KakaoTalk_20221224_122539972
서문시장의 대표 먹거리 '칼국수' 만드는 과정의 애니메이션이 상영되고 있다.

문학과 예술에 등장하는 서문시장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다.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1989년)에서 주인공 기봉스님이 서문시장에서 탁발하는 장면, 시와 소설 속에 등장하는 서문시장을 조명하고 있다.

자녀와 부모가 함께 서문시장 먹거리를 주문하는 체험, 서문시장 지도속에서 '장보러온 수퍼맨', '물건 고르는 물개' 찾기 등 흥미진진한 전시와 체험이 펼펴진다.

이번 전시는 2023년 4월 30일까지 이어진다.

글·사진= 박종문기자 kpjm@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종문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문화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