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둔형 외톨이 예방 위해 대구에 지원센터 설립해야"

  • 박영민
  • |
  • 입력 2024-01-29 17:21  |  수정 2024-01-29 18:13  |  발행일 2024-01-30 제9면
"관련 정보공유체계 구축위해 지원센터 필요"
29일, 대구 남구의회(성윤희 의원) 주관 토론회
GettyImages-jv12682662
청년 은둔형 외톨이. <게티이미지뱅크>
KakaoTalk_20240129_164516875
29일 오후 2시 대구 남구청에서 이진숙 대구대 교수(사회복지학과)가 은둔형 외톨이 지원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대구에서도 '은둔형 외톨이'를 관리하는 공공 지원센터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9일 오후 2시 대구 남구청에서 열린 '은둔형 외톨이 예방 및 사회적 관계 개선을 위한 토론회'에서 이진숙 대구대 교수(사회복지학과)는 "은둔형 외톨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민·관이 정보를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은둔 청년'은 사회적 관계 자본이 결핍된 '고립 청년' 중에서도 외출하지 않고 제한된 공간에서 살아가는 청년으로 고립의 극단적 형태라고 이 교수는 설명했다. 비슷한 개념으로는 아무런 경제활동, 교육 및 직업훈련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니트 청년'(NEET: 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이 있다. 은둔 청년은 '고독사' 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어 사회적으로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교수에 따르면 대한민국 19~34세 청년 가운데 고립·은둔 청년 비율은 2021년 기준 5.0%다. 청년 100명당 5명 꼴이다. 이들은 경제적인 문제가 아닌 가족·사회의 높은 기대치와 경쟁 사회의 압박을 견디지 못해 고립 생활을 택한 경우가 많다.

이 교수는 현재 표준화된 위험군 판별 도구와 사례관리 메뉴얼 등 은둔형 외톨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 존재하지 않아 지원체계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판별 도구를 마련해 위험도에 따라 사각지대 발굴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이들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하는 데에 초점을 둬야 한다"며 "결국 지방정부와 지역사회의 역할은 은둔형 외톨이를 찾아가고, 만나고, 꾸준히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를 위해 은둔 청년 지원센터 설립을 주장했다. 그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으로 인해 은둔 청년들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서비스 대상을 넓히는 것이 문제 해결의 핵심인데 지금의 구조로는 쉽지 않다"면서 "민·관 기관을 통합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센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남구의회(성윤희 의원) 주관으로 열린 이번 토론회는 지역 내 발생하는 고독사 등 은둔 청년 증가로 인해 심화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글·사진=박영민기자 ympark@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영민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