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위기, 청년 인구 이동서 답 찾아야”

  • 박영민
  • |
  • 입력 2024-01-30 17:27  |  수정 2024-01-30 17:32  |  발행일 2024-01-31 제10면
30일 남구서 인구감소 대응 강연 열려
“가장 큰 위기는 지방대학교 소멸”
KakaoTalk_20240130_164940316
30일 오후 2시 대구 남구청에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상림 박사가 구청 직원을 상대로 인구소멸 대응에 대한 강연을 하고 있다.

지방소멸 위기는 저출생이 아닌 청년 인구 이동에서 해답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0일 대구 남구청에서 열린 '2030 직원+인구전문가' 토크콘서트 강연자로 나선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사는 "서울은 출산율이 가장 낮은 곳임에도 청년 비율이 전국서 가장 높다"며 이 같이 밝혔다.

대구지역 청년 인구는 일자리 부족 등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22년 대구에서만 청년(19~34세) 1만1천명이 타 지역으로 유출됐다. 인구감소 지역인 서·남구는 고령화 추세도 심각한 상황이다. 남구의 경우 지난해 고령 인구(3만6천561명)가 20·30대 인구(3만4천443명)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이 박사는 청년 인구감소에 있어 가장 큰 위기는 지방대 소멸이라고 했다. 지역 내 대학교가 사라지면 집, 편의시설, 공공기반시설 등도 함께 사라진다는 것이다. 지역 인재 수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으면서 각종 기업이 지방으로 진출하는 것을 꺼리는 악순환에 빠진다는 게 이 박사의 설명이다.

대부분 지자체가 청년 인구 유입에만 집중하고 있는데, 인구 유출을 막는 정책이 더 시급하다고도 지적했다. 이 박사는 "최근 지자체들이 주소를 옮기면 돈을 지급하는 등 청년 유입을 위한 정책을 많이 내는데, 이는 오히려 지역 내 이미 거주 중인 청년들을 소외시키는 정책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젊은 여성 인구의 유출이 많지 않은 남구의 상황에 대해서는 "남성과는 달리 남구에 유입된 여성은 30대가 될 때까지 계속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위한 치안, 교통 정책 등을 펼쳐 '여성 청년 친화 도시'를 표방하는 것도 적절해 보인다"고 조언했다.

이 박사는 기초단체가 출산율까지 책임지는 건 오히려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봤다. 경쟁하듯 쏟아지는 현금성 정책이 오히려 지원이 부족한 지역의 저출생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그는 "지자체가 내놓아야 하는 정책은 청년을 위한 생활 복지, 양육 복지 향상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출산을 장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글·사진=박영민기자 ympark@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영민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