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부지, 자연친화적 ‘휴노믹시티’로 개발해 사업비 충당 계획

  • 최수경,정재훈,손동욱
  • |
  • 입력 2015-11-24 07:18  |  수정 2015-11-24 07:21  |  발행일 2015-11-24 제2면
대구시민 숙원 ‘K2이전’ 가시권
<휴노믹시티 : 휴식(休息)·인간(Human)·경제(Economic)·도시(City)합성어>
20151124
23일 오전 대구시청에서 이원재 대구시 K2이전추진단장(왼쪽)과 김상경 대구시 안보특별보좌관이 국방부에 제출한 기지이전 수정 건의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손동욱기자 dingdong@yeongnam.com

2013년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된 지 2년 만에 대구시민의 숙원인 K2공군기지 이전 사업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특별법 제정 이후 대구시는 국방부, 공군과 수차례 줄다리기를 하며 K2기지 조기 이전의 필요성을 역설해 왔다. 다행히 올해 10여차례 마라톤 회의 끝에 군 관계자들과 의견 일치를 봤다. 현 시점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도심 한복판을 차지한 채 도시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는 K2기지의 이전을 확답받는 것이다. 이미 국방부에서는 K2기지 이전 후보지를 다각도로 물색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 이전 사업비는 2배 증가

지난해 5월30일 대구시는 K2기지 이전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담은 이전 건의서를 국방부에 제출했다. 당시 대구시는 이전 사업비로 3조5천억원을 책정했다. 하지만 수정 건의안에는 7조500억원으로 늘어난 금액이 제시됐다. 상세 내역을 보면 신기지 건설비용 5조7천600억원, 이전 주변지역 지원비용 2천600억원, 종전부지 개발비용 7천100억원, 자본비용 3천200억원 등이다.

대구시 K2이전추진단 관계자는 “수정안에는 올 2월 국방부·공군측이 보내온 상세한 시설규모를 적극 반영한 것이다. 국방부 관계자 등과 협의체를 구성해 수차례 회의한 결과를 토대로 나온 방안”이라고 밝혔다. 이 수정안 수립 과정에서 대구시와 국방부, 공군은 이미 한 배를 탄 셈이다.

 

왜 사업비 2배로 늘었나
전투비행단·미군부대 이외
다른 부대시설 수용한 때문

 

자신감 내비치는 市
물가·지가 상승률 고려하고
인구감소 추세 면밀히 감안
후적지 개발계획 신중 수립
국비·시비 투입은 검토 안해



대구와 같이 도심 군공항 이전을 추진 중인 수원과 광주도 시설 규모가 확정되면서 사업비가 각각 4조→7조원, 3조5천억원→5조7천억원으로 늘어났다.

이 중에서도 대구시 이전 사업비가 더 많은 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신기지 면적 자체는 이들 도시와 비슷하지만 K2기지에는 전투비행단과 미군부대 이외에 2개의 사령부, 방공통제소 등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시설까지 수용해야 한다는 게 대구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 향후 진행 상황은

중요한 것은 앞으로다. K2기지 이전 여부를 판단할 국방부의 외부 평가위원들이 7조500억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충당하기 위해 제시한 대구시의 종전부지(K2기지 후적지) 개발계획에 대해 어떤 판단을 내리느냐는 것이다.

대구시는 일단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자연친화형 미래복합도시인 ‘휴노믹시티(Hunomic City)’ 계획이 충분히 개발사업자를 움직일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휴노믹시티를 주거용지 30%, 상업용지(10%), 산업용지(11%)로 나눠, 문화·예술·레저활동이 어우러지고,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까지 제시했다.

이원재 대구시 K2이전 추진단장은 “후적지 개발계획을 수립할 때는 신중을 기했다. 물가와 지가 상승률 등을 연도별로 고려했고, 주거용지(아파트 8천가구)의 경우 LH의 연구보고서 등을 토대로 향후 10년 뒤까지 수요를 내다보고 마련했다”고 밝혔다.

사업자 구성도 이제는 관심을 가져야한다. 대구시는 LH와 대구도시공사의 컨소시엄 구성, 대형건설사들의 특수목적법인(SPC), 민간 투자사의 사업 참여를 염두에 두고 있다.

사업자들은 2016~2017년쯤 경북지역으로 이전 후보지가 결정되면 자부담으로 먼저 신기지를 건설한 뒤 국방부에 기부채납하게 된다. 이후 K2후적지 개발해서 분양을 통해 신기지 건설 사업에 들어간 비용을 충당하게 된다.

대구시는 아직 국비나 시비 투입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 일각에선 사업자가 이전 사업비를 충당할 정도의 충분한 비용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구공항의 민간영역도 빨리 이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대구시는 ‘조기이전’이라는 대명제에 더 천착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소음피해 해결과 국가안보 차원에서의 주력전투기인 F-15K의 원활한 훈련비행을 위해선 기지 이전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는 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수경 기자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정재훈 기자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손동욱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