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인터뷰] 이상모 독도재단 대표이사

  • 글·사진=포항 김기태
  • |
  • 입력 2018-01-27 08:43  |  수정 2018-01-27 09:32  |  발행일 2018-01-27 제22면
“동해자원 문화콘텐츠 개발해 각국 언어 홍보…독도 문명적 실효지배 강화”
20180127
이상모 독도재단 대표이사가 포항 북구 중흥로 새 사무실에서 독도와 관련된 다양한 의견을 말하고 있다.


독도재단이 동해안시대를 열었다. 경북도 출연기관으로 설립 9년 만에 대구시대를 마감하고 올해 초부터 포항 북구 중흥로 새 사무실에서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 독도재단은 민간 차원의 독도수호 사업과 국내외 홍보활동 등을 통한 영토주권 강화를 목적으로 설립됐다. 하지만 그동안 대언론 홍보가 부족했고 일부 민간 독도단체와만 교류하는 데 그쳤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런 분위기는 지난해 이상모 대표이사가 취임하면서 조금씩 바뀌기 시작했다. 발굴한 각종 연구자료를 민간 독도홍보단체에 전달하는 플랫폼 기능 강화는 물론 동해에 대한 문명적(문화) 실효지배 강화에 대한 사업을 더욱 확장하고 있는 것. 직원들도 재단이 펼쳐온 각종 사업의 홍보에 열을 올리기 시작했다. 취임 1년도 채 안 된 신임 대표이사의 리더십이 독도재단을 탈바꿈시키고 있다. 포항에 새 둥지를 튼 독도재단의 이 대표를 만나 각오와 향후 운영 방향을 들어봤다.

“대구 설립 9년만에 포항 이전 ‘동해안 시대’열어
日,한일어업협정전부터 동해자원 치밀하게 연구
당시 정부 日과 조용한 외교…일반인 입도 막아
독도사랑모임 때 입도문제 지속제기…허용 성과”

“일본 언론, 트럼프 만찬 독도새우 대접까지 억지
동북아 정세와 연결 도발 일삼아…수호 강화해야
독도·동해 자원 알리고 해양경제로 연결 할 책무
애니·게임 만들어 해외 홍보…國費 확보 필수적”


▶오래전부터 독도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고 들었다.

“1998년 11월 체결된 한·일어업협정 때부터 독도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양국 간 협상이 진행될 무렵 울릉도를 방문했다. 당시 울릉도 어민의 하소연은 끊이지 않았다. 어민들은 ‘정부가 협정 체결에 앞서 우리(어민)한테 물어보면 더 나은 결과를 얻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어민들은 일본의 경우 협정을 맺기 전부터 독도를 포함한 동해의 해양자원 등을 치밀하게 검토 연구한 반면 우리 정부는 동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협상 테이블에 앉아 문전옥답(門前沃畓)을 다 내줬다고 주장했다. 어민의 원망 섞인 하소연은 기억에 오래도록 남았다. 2000년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활동하면서 독도와 동해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했고, 독도와 관련된 일부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당시 독도와 관련된 문제 해결을 구체적으로 말해 준다면.

“국회 연구단체인 독도사랑모임에서 독도 입도 문제를 다룬 것이 대표적일 것이다. 물론 나는 독도사랑모임에 소속된 국회의원을 돕는 연구 임무를 수행했다. 2000년 일반인이 독도에 입도하기 위해서는 인천에 있는 해양경찰서 본부를 통해 허가를 받아야 했다. 언론의 경우에는 외교부로부터 취재 허가를 받아야 했다. 우리 땅이지만 일반인이 쉽게 밟을 수 없는 땅이었다. 당시 정부가 일본과의 외교 마찰을 피하기 위해 조용한 외교를 펼친 탓이다. 독도사랑모임은 독도와 관련한 정부의 조용한 외교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고, 일반인이 쉽게 입도할 수 있게끔 정부를 압박했다. 실제로 독도사랑연구모임 국회의원들은 2001년 광복절 기념식을 독도에서 갖기도 했다. 독도 입도에 대한 꾸준한 문제 제기로 2005년 독도관광이 전면 허용되는 성과를 얻었다.”

▶독도재단의 역할을 설명해 달라.

“독도에 대한 국민 사랑은 너무나 뜨겁다. 정부와 지자체에 등록된 독도 관련 단체만 130여 개다. 임의 단체는 수천개에 달한다. 이들 단체는 영토 주권활동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독도사랑 캠페인과 퍼포먼스 등 행사 상당수가 중복되고 단발성에 그쳤다. 특히 연구자들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일본에 방어적인 논리만 펼치는 데 그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일례로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 방한 때 만찬 메뉴로 독도새우가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일본 정부는 독도가 한국땅임을 트럼프에게 강조하려는 의도일 수 있다며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최근 일본 한 언론은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독도새우를 알고 있는지’에 대해 인터뷰한 내용을 방송으로 내보냈다. 방송에 따르면 서울시민 상당수가 ‘잘 모른다’고 답했다고 한다. 독도새우는 독도와 울릉도 사이 해역에서 잡히는 물렁가시붉은새우, 가시배새우, 도하새우를 통칭하는 것이다. 일본 방송사는 한국인들이 자신들의 바다에서 잡히는 새우도 모르는데 어떻게 독도가 한국 영토가 될 수 있느냐는 식의 억지 방송을 했다. 이미 우리는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그러나 독도와 동해의 해양자원에 대해 우리 스스로 얼마나 이해하고 있고, 얼마나 잘 알고 있느냐 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다. 독도수호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또한 해양경제 개발도 함께 진행돼야 한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지난 10년간 독도 인근 해양지질과 생물에 대한 연구를 해왔다. 독도재단은 여러 기관에서 쌓아온 독도 연구 결과물을 국민과 독도 관련 NGO 단체에 잘 전달해 독도수호운동을 질적으로 한 단계 더 높이고 동시에 해양경제와 연결할 때 주어진 업무를 다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독도 영토수호와 해양경제를 함께 보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렇다. 재단은 포항 이전을 계기로 독도와 동해를 아우르는 환동해에 대한 문명적 실효지배 강화라는 새로운 목표를 설정했다. 역사적으로 일본의 독도 도발은 정략적으로 이뤄졌다. 일본은 러·일전쟁 중에 독도를 강제 편입했다. 미·소 양대 진영 간 냉전이 6·25전쟁으로 정점에 이르렀을 때도 야욕을 드러냈다. 최근에는 미·중 양국 중심으로 국제 역학 관계가 바뀌는 시기에 독도 도발을 해왔다. 동북아 질서가 변동될 때마다 도발을 일삼은 것으로 본다. 우리가 독도 수호를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하는 것도 동북아 정세와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지키기만 하면 비길 수는 있어도 이길 수는 없다. 문명적 지배 강화를 강조하는 이유가 이런 맥락이다.”

▶그렇다면 문명적 지배 강화를 위한 방안은 뭔가.

“콘텐츠 개발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연구한 독도·동해에 대한 각종 자료를 활용해 국민에게 쉽게 전달하는 것도 재단의 몫이다. 어려운 과학 자료를 쉽게 전달하려면 문화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 ‘독도는 우리땅’이라고 외치는 것은 이제 지양해야 한다. IT시대에 맞춰 애니메이션과 게임에 독도와 관련된 문화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나아가 나라별 언어로 제작된 독도 홍보 콘텐츠를 개발해 해외 홍보에 나서는 것도 한 방법이다. 다만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는 예산이 뒷받침돼야 한다. 재단은 현재 경북도 예산으로만 운영돼 어려움이 많다. 이 때문에 국비 확보가 필수적이다. 또한 국민 스스로 나라를 지킨다는 마음으로 펀드 기부를 활성화하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 특히 국민이 독도에 쉽게 입도할 수 있도록 편의시설 확충이 시급하다. 한·일 간 정치적인 문제로 독도입도지원센터와 방파제 보강 작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작은 너울 파도에도 독도 접안이 어렵고, 한 해 20만명이 다녀가는 독도에 관광객이 쉴 공간이 없다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이와 관련한 문제에 대해 정부와 국민이 관심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글·사진=포항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