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스마트시티 조성 않으면 시·군 활성화 한계”

  • 임호
  • |
  • 입력 2018-07-12 07:28  |  수정 2018-07-12 07:28  |  발행일 2018-07-12 제9면
도내에서 추진하는 곳 전무
전문가 “단순 인구유입 정책
도시 소멸화 현상 해결 못해”

스마트시티는 청년층 유출 등으로 도시소멸에 내몰린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답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경북도가 지방소멸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선 도시 활성화의 핵심인 ‘스마티시티(Smart City)’ 조성에 본격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스마트시티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주요 도시기능을 네트워크화한 이른바 ‘똑똑한 미래형 첨단도시’를 일컫는다. 공공분야에선 지능형 CCTV를 통해 안전한 도심 치안·방범시스템을 구축하는가 하면 가변적 교통체계를 통해 편리한 도심 이용이 가능하다. 민간분야에선 스마트폰으로 가정 내 각종 전자기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어 거주자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하지만 경북지역 시·군에서 스마트시티 조성이 추진되는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경북도가 스마트시티 조성에 대한 인식과 노력이 그만큼 부족하다는 것이다. 반면 대구시를 비롯해 세종시, 부산시, 경기 오산·화성·고양시, 제주도는 스마트시티 조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10일 정부는 2022년까지 1천159억원을 투입하는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 실증도시로 대구시와 경기 시흥시를 선정했다. 최근 국가 시범도시로 선정된 세종 5-1 생활권(83만평)은 에너지·교통 중심 스마트시티를, 부산 에코델타시티(세물머리지역 중심·66만평)는 워터시티 콘셉트와 국제물류 연계성을 기본으로 스마트시티 조성에 나선다.

세계 각국도 스마트시티 조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2020년까지 중국은 10조원을 투입해 스마트시티 500곳을, 인도는 35조8천억원을 투자해 2020년까지 스마트시티 100곳을 개발한다. 싱가포르는 2025년까지 기존 도시를 ICT로 무장한 첨단도시로 만드는 초대형 스마트시티 조성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미국은 2025년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가 2조달러(2천240조6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관련 전문가들도 경북처럼 도시소멸이 현실화된 지역이야말로 스마트시티 조성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김현덕 경북대 교수(전자공학부)는 “도청신도시와 같이 도시를 새롭게 조성할 경우 스마트시티 적용이 필수적이다. 스마트시티를 적용하지 않으면 도시 활성화가 한계에 부닥친다”며 “경북도가 현재와 같은 단순한 인구 유입 정책으로는 도시소멸을 막을 수 없다. 젊은층을 끌어들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스마트시티 조성”이라고 말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경연구센터 정윤수 실장은 “인구 100만명 이상 대도시보다 10만~20만명 수준의 중소도시가 오히려 교통·치안·행정·에너지 분야의 스마트시티 개념을 적용하기가 더 유리하다”며 “군 단위 읍·면지역은 스마트타운으로, 인구 집중도가 낮은 농촌지역은 치안서비스 측면에서 스마트시티가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도가 스마트시티에 대한 준비가 늦은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포스텍에 포항·의성에 대한 스마트시티 용역을 발주해 이달 말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결과를 토대로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해명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임호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