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단일화 첫 시도 성공할까…1차 관문은 舊여권 대선후보 연대

  • 박재일
  • |
  • 입력 2017-03-29   |  발행일 2017-03-29 제3면   |  수정 2017-03-29
■ 장미대선의 변수는 ‘反文연대’
자력으론 문재인 대적 불가능 판단
국민의당 합류 여부가 가장 큰 변수

‘5·9 장미대선’의 핵심 이슈의 하나는 바로 범보수 단일후보의 출현 여부다.

범보수, 그러니까 구(舊) 여권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 속에 사실상 초토화됐다. 구 여권의 주축이던 새누리당은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으로 분열됐다. 단순한 갈라짐이 아니다. 구 여권 진영의 대선 후보군 여론조사 지지도가 전례없이 헤매는 수준이다. 10%대를 넘어서는 후보자가 사실상 없다. 구 여권으로서는 최소한 후보 간 연대를 통해 더불어민주당으로 대변되는 구 야권과 ‘1대 1 구도’를 형성하지 않고는 승산이 없게 됐다. 대선이 40여일이 채 남지 않은 지금까지도 범야권 후보군이 지지도 1, 2, 3위를 휩쓸고 있다.

28일 범보수 진영의 첫 대선 주자가 확정됐다. 바른정당의 유승민 의원(대구 동구을)이다. 스스로 적통보수를 자임하고 있다. 보수진영의 대선 구도가 불리한 상황임을 유 후보 측도 잘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31일 확정될 자유한국당과의 최소한 후보 단일화 작업이 대선 첫 승부수가 됐다. 유 의원 스스로도 탄핵사태를 몰고 온 자유한국당 내 강성 친박(親朴·친박근혜)이 배제된다면 단일화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자유한국당 내 유력 후보로 손꼽히는 홍준표 경남도지사도 “자유한국당 후보가 돼본들 초상집 상주 노릇밖에 더 하겠나”라며 최소한의 후보 단일화가 절실함을 인정했다.

구 여권의 단일화란 1차 관문은 보수진영이 그나마 승부를 해볼 수 있는 필요조건이다. 여기다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를 비롯한 외곽인사를 보태 몸집을 불려야 한다. 상당히 어렵겠지만 국민의당과 연대하는 극적인 상황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마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구 여권 보수의 영남과 국민의당으로 대변되는 호남의 연대로 대선구도를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신(新) 영호남연대론이다.

역대 대선에서 단일화는 늘 이슈였다. 당시의 정치구도로 보면 주로 범 야권진영에서 시도됐다. 물론 단일화가 반드시 대선 승리를 보장한 것은 아니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 첫 대선에서 야권의 두 유력 주자인 김영삼·김대중 후보는 민주화 세력의 열망에도 불구하고 끝내 단일화에 실패했고, 정권은 노태우 전 대통령에게 돌아갔다. 노 전 대통령은 역대 최소치인 36.6%의 득표율로 대통령에 당선됐다.

반면 1997년 IMF 외환위기 속에 치러진 대선에서 새정치국민회의의 김대중 후보는 자유민주연합 김종필 총재와 공동정부 구성을 조건으로 단일화에 성공했다. 여기에는 박태준 전 포스코 회장도 함께했다. 이른바 ‘DJT(김대중·김종필·박태준) 연합’이다. 김대중은 대선 4수 끝에 단일화를 바탕으로 대권을 거머쥐었다.

2002년 16대 대선에서의 단일화 과정은 극적이었고, 한편 여론조사란 당시로서는 생소한 방식이 동원된 사례였다. 새천년민주당의 노무현 후보와 국민통합21 정몽준 후보가 단일화 방식을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인 끝에 여론조사를 수용했고, 결국 노무현 후보로 단일화됐다. 노 후보는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에 사실상 역전승했다.

2012년 대선에서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단일화 논의 과정에서 갈등과 대립을 노출하다 11월23일 안 후보가 전격 사퇴하는 형식으로 단일화에 성공했지만, 문 후보는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를 넘어서지는 못했다.

역대 대선을 돌아보면 2017년 탄핵정국 대선 속의 단일화는 범여권, 보수로서는 사실상 첫번째 시도다.

박재일기자 park11@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