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후적지 아파트·상업용지로 채우면 기존 시가지 폭락 위험”

  • 김형엽,황인무
  • |
  • 입력 2017-09-27 07:37  |  수정 2017-09-27 09:53  |  발행일 2017-09-27 제6면
대구공항 활성화 위한 시민토론회
20170927
26일 오후 대구시 중구 YMCA 청소년회관에서 열린 ‘대구공항 활성화를 위한 시민 토론회’에서 이진훈 수성구청장 등 패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황인무기자 him7942@yeongnam.com

26일 열린 ‘대구공항 활성화를 위한 시민 토론회’에선 지역 시민단체들이 꾸준히 제기해온 대구공항 이전의 절차적 합리성과 관련한 검토가 이뤄졌다. 아울러 수요 및 접근성을 바탕으로 한 공항 해법에 대해서도 머리를 맞댔다.

◆대구공항 이전의 정당성·방향성

지속적으로 대구 통합공항 이전에 반대 의견을 밝혀 온 이진훈 수성구청장은 “영남권 신공항은 이미 실패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난 상황에서 ‘국가의 중추 공항은 인천공항으로 충분하다’는 중앙 정부의 정책방향이 이미 확인됐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구청장은 국토부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 2016~2020년’을 예로 들며 공항의 위계 및 개발 방향을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전국을 4개 권역(중부권·동남권·서남권·제주권)으로 구분해 각 권역에 거점공항과 일반공항을 두고, 국가를 대표하는 중추공항을 두도록 돼 있다. 또 이 계획엔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김해 및 대구공항의 장래 활용방안을 검토하되, 수요증가에 대응해 필요 시설은 지속 확충한다고 돼 있다. 이에 대구공항은 대구·경북권 내 제주 및 단거리 국제노선 항공수요 등을 원활히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이라는 것이다.


이전 반대 이진훈 수성구청장
대구·경북 공항 수요예측 등
독립적 이전 타당성 조사 요구

박철구 박사 “지역 공항수요
폭발적으로 늘어나진 않을 것”

대구시 “분리 이전 추진하면
비용 못 감당…장기적으로 봐야”



결국 이 구청장은 “대구공항의 역할과 합리적 수요 예측을 통해 적합한 개발 방향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공항의 경우, 공항시설법에 따라 공항개발 종합계획의 수립 및 변경이 필요하지만, 단순히 군공항 이전에 따른 종속적인 이전은 제대로 된 절차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군공항 최종 입지 선정에 따른 대구공항 이전은 불가하며, 민간공항 이전의 타당성 조사가 독립적으로 필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그는 대구시민의 여론을 수렴하지 않은 일방적 추진과 세계 주요 도시 간 거리를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공항 확장 계획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아울러 △접근성이 좋은 공항 △공항복합도시 및 경쟁력 있는 에어로트로폴리스 건설 △공항의 경제적 효과 극대화 등을 고려한 대구공항이전 해법을 대구시에 요구했다.

◆수요·접근성 고려한 대구공항 해법

토론에 나선 4명의 패널은 수요와 접근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공항을 다각도로 분석해 면밀한 수요예측을 하지 않을 경우 사회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박철구 박사(교통공학)는 “대구시는 공항수요 포화로 통합공항 이전을 주장하지만, 김해공항 확장의 변수는 집어넣지 않은 산출”이라며 “대도시 광역교통 기본계획에 따라 김해공항으로의 접근성은 증가하지만, 대구·경북지역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위현복 한국기적의 역사연구소장은 “앞서 시민단체 여론조사를 통해 대구시가 일방·편의적으로 정책을 추진해 시민을 무시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면서 “중차대한 문제에 시민들이 주민투표·서명운동 등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재일 영남일보 부국장은 “밀양 신공항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물론 대구시에서도 다각도로 면밀하게 분석하지 못했다”며 “현재 대구공항 이용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저가항공의 영향이 컸다. 이는 결국 수요 증가와 더불어 도심공항이라는 접근성이 주요하게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강동필 백인포럼 대표는 “기부 대 양여 방식의 통합공항 이전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선 공항 후적지를 아파트와 상업용지로 채워야 한다”며 “이는 기존 시가지 집값 폭락을 부르는 위험한 발상일 수 있다. 차라리 대구공항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시의 입장

이 같은 주장들에 대해 대구시는 “대구공항과 K2 군공항을 이전한다는 큰 틀에서 현 대구공항 이전 사업을 봐주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군공항을 제외한 대구공항 및 분리 이전에 논의의 초점이 집중되다 보니 검증되지 않은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 대구시는 “대구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분리이전 요구로 인해 경북에서 통합공항 이전을 약속하는 장치를 요구하고 있다”며 단순히 대구의 입장에서만 바라보지 말 것을 당부했다.

이어 대구공항의 급증하는 수요는 저가항공 및 노선의 다변화로 인해 김해공항에서 전환되는 수요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했다. 국내·국제적 추세에 따라 항공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1인당 항공 이용 횟수도 점차 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했다.

대구시는 마지막으로 “기부 대 양여 방식의 공항이전이 추진되는 상황에서 분리 이전을 추진할 경우, 그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국비가 투입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항시설 매입 및 부지 활용에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이라는 것. 또 통합이전은 단순히 주거·상업뿐만 아니라 산업단지 등 대구의 미래 먹거리를 발굴할 수 있는 사업이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김형엽기자 khy0412@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