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대구경북 제조업·서비스업 고용 급감…대구 청년실업률 14%

  • 이연정
  • |
  • 입력 2018-05-17 07:54  |  수정 2018-05-17 07:54  |  발행일 2018-05-17 제19면
■ 4월 고용동향 IMF 이후 최악
최저임금·원자재값 상승 등 ‘직격탄’
유출 많아 노동공급 난항…일자리 감소
[이슈분석] 대구경북 제조업·서비스업 고용 급감…대구 청년실업률 14%

역대 최악의 수치를 기록하는 고용시장 불안은 그간 시장을 견인했던 제조업의 불황이 심화되는 데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더욱이 대구는 노동시장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는 청년 실업률이 전국 최악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우려를 더한다.

◆제조업·서비스업 고용 악화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을 보면, 대구의 산업별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에 비해 농림어업(1만4천명),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2천명), 건설업(1천명) 부문이 증가한 반면 도소매·숙박음식점업(-1만7천명), 제조업(-1만4천명), 전기·운수·통신·금융업(-9천명) 등에서 감소했다. 대구의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24만6천명)는 지난해 12월(26만4천명) 이후 4개월째 줄어들고 있다. 직업별로도 서비스·판매종사자(-2만2천명)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경북은 같은 기간 도소매·숙박음식점업(2만명), 농림어업(4천명), 건설업(2천명) 부문이 증가했으나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2만명), 제조업(-1만4천명) 부문은 크게 감소했다. 경북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 2월 이후 석 달째 28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도 취업자 증가세를 이어갔던 제조업의 악화가 두드러졌다. 2017년 6월부터 10개월 연속 취업자가 증가했던 제조업은 지난달 6만8천명 줄어 감소로 전환했다. 특히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의료·정밀·광학기·시계 제조업의 고용 상황이 좋지 않았다.

이는 제조업의 생산 부진과 함께 최저임금 상승, 근로시간 단축 논의, 원자재값 상승 등 기업에 직격탄이 되는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으로 서비스 업종에서는 최근 무인시스템 확산, 고용인원 감축 등이 눈에 띄게 확산되고 있다.

엄창옥 경북대 교수(경제통상학부)는 “삶의 질을 높이려 임금을 올리면서 기업의 부담이 가중되고 그것이 인력 감축 등으로 이어지는 상호모순적인 작용이 이뤄지는 한 고용절벽은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며 “새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정체돼 있고 대기업 중심으로 흘러가는 산업구조가 바뀌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제조업, 청년실업률에도 영향

특히 대구는 전체 실업률 악화를 청년층이 견인하고 있다.

최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서울 및 광역시별 청년 고용 현황 및 시사점’을 살펴보면, 올 1분기 기준 대구의 청년 실업률은 14.4%로 7개 특별·광역시 중 가장 높았다. 최하위인 울산(6.1%)과는 두 배 넘는 차이를 보였다. 대구는 청년 실업률과 함께 전체 실업률도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보여 비례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고용률은 다른 지역과 달리 반비례했다. 2012~2017년 대구의 전체 고용률은 증가했으나 청년 고용률은 크게 감소해 청년층 고용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구의 청년인구 순유출은 타 시·도 대비 가장 많이 발생해, 노동공급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자리도 점차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2013년 대비 2017년 대구를 비롯한 서울, 대전, 울산 등은 구인 인원이 감소했다. 수치가 작을수록 구직이 어려움을 뜻하는 구인배수 또한 대구, 울산의 하락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제조업 및 서비스업 생산 지표가 청년 고용 개선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분석했다. 청년고용이 악화된 대구, 부산, 서울은 제조업 연평균 생산 증가율이 각 1%대를 기록한 반면 청년 고용이 개선된 대전, 광주는 3%대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인다는 것. 또한 대구는 섬유와 전자제품, 자동차 산업의 생산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점이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노동시장 상황 및 직업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며 “지자체별로 전통적으로 고용 창출력이 높은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제고를 바탕으로 한 청년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연정기자 leeyj@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