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률 분석] 전국 평균 67.7%, 수도권 69.8%로 비수도권 66.3% 보다 높아

  • 박종문
  • |
  • 입력 2023-01-12 21:14  |  수정 2023-01-12 21:14  |  발행일 2023-01-13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2021년 12월 31일 기준) 취업 통계 조사 분석
인천(70.9%) > 서울(70.1%) > 울산(69.4%) > 대전(69.2%)=세종(69.2%)=경기(69.2%) 순
의약계열(82.1%) > 공학계열(69.9%) > 전체평균(67.7%)
2023011001000336800013231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지난 2022년 12월 27일 '2021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전국 고등교육기관(일반대학·교육대학·산업대학·전문대학·각종학교·기능대학 및 일반대학원)의 취업률을 가장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의 신뢰성이 높다.

2023011001000336800013232

2021년 2월과 2020년 8월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54만 9천295명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 31일 기준 취업 및 진학 현황과 취업 준비기간, 급여 수준 등 7개 항목의 취업 상세정보를 조사했다.

7개 항목은 초임 급여, 취업 준비기간, 기업유형·기업규모별·산업분류별·근무지역별 취업현황, 전공별 자격증 취득 현황(1인당, 등급별, 직무별) 등이다.

2023011001000336800013233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국세청, 병무청, 해양수산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14개 기관의 공공 데이터베이스(DB)와 연계하여 조사했다.

또 통계청과 협업하여 졸업자의 취업 후 1~3년간 일자리 이동 현황 및 경로를 다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일자리 이동통계'(이하, 이동통계)도 발표한다.

2021년 2월 고등교육기관 졸업자(2020.8월 졸업자 포함) 중 취업자는 32만 685명으로 취업대상자 47만 3천342명의 67.7% 수준이며 전년 대비 2.6%p 증가(65.1%, 2020.12.31. 기준)했다.

2023011001000336800013234

분야별 취업률은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90.4%, 프리랜서 6.5%, 1인 창(사)업자 1.9%, 해외취업자 0.3%, 농림어업종사자 0.2% 순이다.

자유계약자 및 1인 창(사)업자 비율은 전년대비 각각 0.7%p, 0.2%p 증가한 반면,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및 해외취업자, 개인창작활동종사자는 전년대비 각각 0.6%p, 0.1%p, 0.1%p 감소하였다.

학제별 취업률은 일반대학원 82.6%, 전문대학 71.0%, 대학 64.1% 등으로 나타났고, 기능대학(△0.8%p)을 제외한 모든 고등교육기관의 취업률은 전년대비 1.1~6.8% 수준으로 상승했다.

계열별 취업률은 전체 취업률(67.7%)을 기준으로 공학계열(69.9%), 의약계열(82.1%) 취업률은 높은 반면, 인문계열(58.2%), 사회계열(63.9%), 교육계열(63.0%), 자연계열(65.0%), 예체능계열(66.6%) 취업률은 낮게 나타났다.

전년 대비 대부분의 계열별 취업률은 증가하였고, 의약계열(0.0%p)과 교육계열(0.9%p)을 제외한 모든 계열의 취업률이 2%p 이상 증가하였다.

clip20230112203633

수도권 취업률은 69.8%, 비수도권 취업률은 66.3%로 지역 간 3.5%p의 차이를 보였다.

17개 시도 중에서 서울, 인천 등 8개 시도는 전체 취업률보다 높은 취업률을 보였고, 전년 대비 증가폭이 가장 큰 시도는 세종(5.2%p, '20.12.31.기준 64.0%)으로 나타났다.

전체 취업률 보다 높은 취업률을 보인 지역은 서울(70.1%), 인천(70.9%), 울산(69.4%), 대전(69.2%), 세종(69.2%), 경기(69.2%), 충남(68.3%), 전남(68.2%) 등이다.

대구와 경북지역 고등교육 기관 취업률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대구는 전북과 함께 65.8% 하위 4위, 경북은 65.3%로 하위 3위를 기록했다. 대구·경북 보다 취업률이 낮은 지역은 부산(62.9%)과 제주(64.5%) 분이었다. (영남일보 2023년 1월 10일자 1면 보도)

2023011001000336800013235

취업자들의 월 평균소득은 275만2천원으로 전년(262만9천원) 대비 12만3천원 증가하였고, 학부는 256만2천원(12만1천원 ↑), 일반대학원은 467만6천원(18만3천원 ↑) 으로 전년 대비 각각 5%p, 4.1%p 상승하였다.

취업 준비기간은 졸업 전 취업(30.4%), 졸업 후 3개월(25.1%), 9개월(16.8%), 6개월(16.7%), 10개월 이상(11.0%) 순이며, 취업 준비기간이 3개월(25.1%), 6개월(16.7%) 이내 소요된 취업자 비중은 전년(22.7%, 14.9%) 대비 각각 2.4%p, 1.8%p 증가하였다.

2023011001000336800013236

기업유형별 취업 비중은 중소기업(45.1%), 비영리법인(16.9%), 대기업(9.9%), 국가 및 지방자치 단체(9.9%), 중견기업(7.7%), 기타(5.6%), 공공기관 및 공기업(4.9%) 순이며,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취업자가 전년(8.5%, 7.4%) 대비 각각 1.4%p, 0.3%p 증가하였다.

산업분류별로는 취업자의 약 35.6%가 제조업(19.2%), 보건·사회복지(16.4%)에 분포되어 있고, 나머지 산업은 10% 미만으로 분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조업(19.2%), 보건·사회복지(16.4%), 전문·과학·기술(9.3%), 교육(8.8%), 정보통신(8.4%), 공공행정(7.9%), 도소매(7.4%) 등의 순이다.

제조업, 정보통신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은 전년 대비 각각 1.4%p, 0.9%p, 0.5%p 증가하였다.

2023011001000336800013237
2023011001000336800013238

분석대상 취업자가 취득한 국가기술자격증 취득현황은 1개 이상의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한 비율은 49.1%로 전년(49.6%) 대비 0.5%p 감소하였으며, 계열별 취득률을 보면 공학계열(63.7%), 자연계열(62.1%), 사회계열(47.4%)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인당 국가기술자격증 취득 수는 1.9개(전년동일)이며, 공학계열 2.2개, 자연계열 2.1개, 사회계열 1.7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3011001000336800013239

2020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2019년 8월 졸업자 포함) 중 12월 31일 기준 건강보험 직장가입자(28만 4천359명)의 취업 후 1년 내(~2021.12.31.) 주된 일자리 이동률은 20.7%(5만 8,838명)로 전년(17.4%) 대비 3.3%p 증가하였다.

2020년 졸업자의 성별 일자리 이동률은 남성이 19.1%, 여성이 22.3%로 3.2%p의 차이를 보였다.

학제별 이동률은 각종학교 25.2%, 전문대학 23.2%, 기능대학 22.2%, 산업대학 21.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계열별로는 예체능계열 24.9%, 인문계열 22.4%, 자연계열 22.1%, 의약계열 22.0%, 교육계열 21.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30110010003368000132310

2018년 졸업자의 취업 후 3년 내(2021년 말) 이동률은 43.1%로 2년 내(2020년 말) 이동률 32.5%에 비해 10.6%p 높아졌다.

2019년 졸업자의 취업 후 2년 내(2021년 말) 이동률은 32.2%로 1년 내(2020년 말) 이동률 17.4%에 비해 14.9%p 높아졌다.

이번 조사 결과는 교육부(www.moe.go.kr)와 한국교육개발원(kess.kedi.re.kr) 누리집에 탑재하여 국민들이 손쉽게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박종문기자 kpjm@yeongnam.com

20230110010003368000132311
20230110010003368000132312
20230110010003368000132313
20230110010003368000132314


기자 이미지

박종문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