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지 어려운 고체연료 사용…韓 방어체계 무력화 우려

  • 구경모
  • |
  • 입력 2017-02-14   |  발행일 2017-02-14 제2면   |  수정 2017-02-14
■ 北 발사 ‘북극성 2형’은?
2단 추진체만 연결하면 ICBM
北 “핵탄두 장착도 가능” 주장
사드 한반도 배치에 힘 실릴듯
20170214
20170214
북한이 13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공개한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북극성 2형’의 발사 장면. 연합뉴스

북한이 13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북극성 2형’은 고체연료를 사용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의 전 단계로 분석된다. 이는 우리 군의 북한 핵·미사일 방어체계인 ‘킬 체인’ 등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체계를 무력화하고, 한반도 전략 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 것이란 평가가 나오면서 대북 미사일 방어에 빨간불이 켜졌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우리 식의 새로운 전략무기체계인 ‘지상 대 지상’ 중장거리 전략탄도탄 ‘북극성 2형’ 시험발사가 주체 106(2017)년 2월12일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1∼2면에 전날 이뤄진 북극성 2형 시험발사 및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참관 모습을 담은 컬러사진 총 30장을 게재했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북한이 ICBM 개발을 위한 중간단계의 무기체계인 ‘신형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에 2단 추진체만 결합하면 ICBM으로 충분히 갈 수 있는 것”이라며 “결국 ICBM의 1단 추진체 실험이었다고 보면 될 듯하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북한의 신형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개발은 우리 군이 2020년대 초반을 목표로 구축 중인 ‘킬 체인’을 무용지물로 만들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번 발사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고체연료를 사용했다는 것이다. 연료 주입 절차가 필요 없는 고체연료 엔진을 장착한 탄도미사일은 은밀성이 뛰어나 이동식 발사차량(TEL)에 탑재해 발사하면 발사 전 타격이 어렵다.

이에 따라 북한이 고체연료 방식의 미사일 개발에 성공할 경우 북한의 미사일이 한 단계 진전돼 위협 수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양욱 한국 국방안보포럼 수석연구위원은 “국산 무기체계 중 북한 미사일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은 현무, 이지스함에 탑재하는 SM3나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L-SAM), 현무2 미사일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SM3나 L-SAM은 개발 중에 있기 때문에 한·미 억제전략무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가장 기초적인 것은 사드”라고 강조했다.

반면 합참은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의 성공 여부와 관련해 “대기권 재진입 기술 확보 여부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또 북한이 ‘북극성 2형’에 핵탄두가 장착 가능하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단정 지을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