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독도의 달 10월, 국민이 함께 지키는 독도

  • 입력 2012-10-09   |  발행일 2012-10-09 제30면   |  수정 2012-10-09
우리가 할 일은 울분을 참고, 독도를 아름다운 섬으로 만들어나가는 것
경북이 앞장서겠지만, 결국 독도는 전 국민이 지키는 것
[특별기고] 독도의 달 10월, 국민이 함께 지키는 독도

512년 6월, 신라 제22대 지증왕은 장군 이사부를 시켜 우산국을 복속시켰다. 독도가 역사 속에 우리 영토로 기록된 시작이다. 그 이후로 독도는 누대를 이어오며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이 되어 왔다.

2012년 8월, 1천500년 만에 민족 역사상 최초로 국가 통치권자인 대통령이 독도를 밟았다. 며칠 뒤에는 우리 땅임을 알리는 표지석도 설치했다. 대통령이 영토를 순시하고 내 집에 문패를 다는 현장에 함께했던 그날의 감격은 지금 생각해도 가슴이 벅차다. 다만 표지석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실수는 있었지만 영토를 지키는 가치 이상은 없다고 본다.

최근 동북아 지역에 영토문제를 둘러싼 긴장의 파고가 높아지고 있다. 분명한 것은 독도는 다른 지역과 달리 영유권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도 이론의 여지가 없다. 이처럼 명백한 대한민국 영토를 두고 일본은 치밀한 각본에 따라 조직적인 도발을 자행하고 있어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다.

질곡의 아픔을 되새기는 일이지만 잠시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자. 1905년 2월22일, 일본은 우리의 외교권을 빼앗은 상태에서 소위 ‘시마네현 고시 제40호’라는 것을 통해 비밀리에 일방적으로 독도를 강제 편입했다. 그리고 1905년 을사늑약에 이어 1910년 나라를 강탈했다. 독도 문제의 본질은 일제의 침략사와 그 맥을 같이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일본의 독도침탈은 시작 과정부터 악랄했지만 그 이후의 행위는 더욱 비열하다. 심지어 2차 세계대전 이후 우리가 점령했다는 어처구니없는 주장도 하고 있다. 엄연한 역사적 사실마저 부정하며 남의 영토를 넘보는 것은 선진국답지도 못하고 이웃국가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도 아니다. 일본의 양심이 되살아나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길 바라지만 현재로서는 요원하게만 보인다.

따라서 지금 우리가 할 일은 울분을 참고 독도를 아름다운 섬으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내 집을 살기 좋게 가꾸는 책임은 결국 집주인의 몫이기 때문이다. 그런 맥락에서 독도를 관할하는 경북도는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고 역사적 진실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데 집중해 왔다.

특히 경북의 독도수호대책은 28개 사업에 총 1조82억원의 정부예산으로 확정되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추진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독도를 사람이 살고 생활이 이루어지는 섬으로 만들기 위한 사업이 하나하나 구체화되고 있다. 어머니 섬인 울릉도도 세계적인 녹색섬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개발에 탄력을 받고 있다.

문화적 접근도 새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영유권 강화를 위한 하드웨어 구축과 함께 소프트웨어적인 요소도 함께 들어가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서다. 세시봉 공연이나 K-pop 페스티벌, 한복패션쇼 등 다양한 문화예술행사를 울릉도와 독도에서 열 생각이다. 전 국민이 애창할 수 있는 독도 가곡도 공모하고 있다.

마침 10월은 독도의 달이다. 올해도 국내외에서 독도를 주제로 한 다양한 문화예술행사가 열린다. 이를 통해 변함없는 독도사랑의 열기를 확인하고 국제사회와도 자연스럽게 소통하고자 한다.

나라가 어렵던 시절, 홍순칠 대장과 의용수비대원들은 제대로 된 무기가 없어 참나무로 대포를 깎아 독도를 지켰다. 백성들의 피와 땀으로 지켜낸 독도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영토를 관리하는 일은 준비된 계획에 따라 경북이 앞장을 서겠지만 결국 독도는 전 국민이 지키는 것이다. 지난 한 해 17만9천여명의 국민이 독도를 찾아 영토수호 현장에 함께했다. 독도를 통해 백성이 똑똑한 나라임을 다시금 확인한다.

김관용 경북도지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