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영남권 허브공항 건설이 지방 살릴 유일한 방책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6-06-25   |  발행일 2016-06-25 제23면   |  수정 2016-06-25

영남권 신공항 건설은 2006년 노무현 대통령이 검토를 지시하고 같은 해 11월 제3차 공항개발중장기계획에 신공항 필요성이 반영되면서 공론화되기 시작했다. 대선 공약이었던 신공항 건설이 2011년 3월 백지화됐으나 2012년 다시 대선 공약으로 채택되면서 재추진됐다. 하지만 박근혜정부는 신공항을 백지화한 이명박정부를 그대로 답습했다. 다른 게 있다면 김해공항 확장이란 미봉책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애당초 신공항 필요성이 제기된 이유는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명제 때문이었다. 고사해가는 비수도권을 살릴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 영남권 허브공항 건설이라는 데 공감대가 이뤄졌다. 영남권 주민들과 지자체들이 10여년 노심초사하며 그려온 신공항의 밑그림도 1천300만 영남권 주민과 모든 영남지역을 아우르는 명실상부한 허브공항이자 국가 제2관문공항이었다. 그런데도 정부는 김해공항 확장안이라는 버려진 카드를 다시 집어 들고 최선의 선택이라고 강변하는가 하면, ‘김해 신공항’이라는 궤변까지 늘어놓으니 어이가 없다.

주변의 도시화, 안전 문제 등이 노출된 김해공항의 한계성은 이미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이다. 무리하게 활주로 1본을 추가로 건설해봐야 장기적으로는 폭증하는 항공수요를 감당할 수도 없다. 또 3천200m 활주로로는 ‘보잉 747’ 같은 대형 기종이 운항할 수도 없거니와 유럽·미주 노선 증편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 영남권 허브공항이나 국가 관문공항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는 의미다.

김해공항을 확장해 본들 영남권 허브공항의 기능을 하지 못하니 신공항 건설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도 기대난망이다. 17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20만개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신공항 파급효과도 물거품이 됐다. 이 모든 게 후폭풍이 무서워 정면 돌파하지 않은 정부의 책임이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이 책정한 김해공항 확장 사업비는 4조3천700억원이다. 활주로 2본의 밀양 신공항을 건설하는 데는 6조1천억원이 소요된다. 예산을 조금만 더 들이면 접근성 좋고 확장성 높은 영남권 허브공항을 건설할 수 있는데도 김해공항 확장을 택했으니 누가 납득하겠는가.

우리는 지역공항 확장이 아닌 영남권 허브공항 건설을 간절히 소망한다. 10년 동안 차곡차곡 쟁여온 영남권 주민들의 신공항 건설 의지가 정부의 일방적 정책이나 판단에 의해 꺾일 수는 없다. 어떤 난관이 있더라도 영남권 허브공항 건설은 반드시 성사시켜야 한다. 그게 영남지역이 사는 길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