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칼럼] 마라톤 부상없이 완주하는 법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6-09-27 07:58  |  수정 2016-09-27 07:58  |  발행일 2016-09-27 제23면
[한의학칼럼] 마라톤 부상없이 완주하는 법

무더운 여름이 지나면 마라톤을 즐기는 사람이 늘어난다. 마라톤을 통해 건강을 챙기는 효과도 있지만 제대로 된 준비운동을 하지 않으면 자칫 건강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족저근막염은 ‘마라톤 병’으로 잘 알려진 질환이다. 장거리 마라톤이나 조깅을 하거나 바닥이 딱딱한 장소에서 발바닥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운동을 했을 때 잘 나타나기 때문이다.

족저근막염은 발 뒤꿈치 뼈에서 시작해 발바닥 앞쪽으로 연결되는 족저근막에 염증이 생겨 발바닥이 찢어질 듯 한 통증이 느껴지는 질환이다.

족저근막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발바닥에 부하가 가지 않도록 자신에게 맞는 코스를 선택하는 것이 필수이며 마라톤을 마친 뒤에는 발바닥을 손가락으로 지압하면 좋다.

무지외반증을 가진 환자 역시 큰 주의가 필요하다. 무지외반증이란 엄지발가락이 바깥쪽으로 휘는 발 기형이다. 끝이 뾰족한 신발이나 발 크기보다 작은 신발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해 ‘하이힐 병’이라 불린다.

무지외반증이 생기면 튀어나온 부위가 신발에 맞닿아 통증이 생기고, 심하면 새끼발가락의 기형을 유발해 일반적인 신발을 신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키높이 깔창으로 인해 남성 무지외반증 환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2015년 건강보험심사 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무지외반증 환자는 7만4천700여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따라서 무지외반증이 있다면 러닝화를 고를 때 발의 길이에 신발을 맞추기보다 발의 볼에 맞춰 신발을 신는 것이 좋다. 엄지발가락의 변형이 진행되면서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이 겹치거나 관절이 탈구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발과 신발 깔창이 쿠션 역할을 하는 제품을 고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라톤이 끝난 다음에는 발가락을 위로 잡아당기면서 스트레칭을 해준다. 발가락으로 수건집기 등을 매일 해줘도 발가락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마라톤은 달릴 때마다 척추가 위아래로 계속 움직이는 운동이다. 그렇기 때문에 60대 이상 노령층은 비교적 부담이 적은 코스라 해도 허리나 무릎에 부담을 줘 뼈나 근육, 인대에 미세손상이 올 수 있다. 따라서 노년층의 경우 달리기 전 충분한 스트레칭을 해 허리 근육과 인대를 풀어주는 것이 좋다. 아울러 자기 페이스를 유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딱딱한 아스팔트를 달리는 마라톤의 경우 내딛는 충격에 의해 급성관절염으로 무릎에 물이 차는 황액막염에 노출되기 쉽다. 만약 마라톤이 끝난 뒤 무릎에 통증이 발생했다면 전문병원을 찾아 X레이 촬영 및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만약 통증을 방치할 경우 퇴행성 질환인 십자인대 손상, 반월상연골판 손상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제균 대구자생한방병원>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건강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