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스마트시티, 문제해결 중심 특화로 경쟁력 갖춰야”

  • 최수경
  • |
  • 입력 2019-05-30 07:43  |  수정 2019-05-30 09:15  |  발행일 2019-05-30 제18면
■ 대구경북硏 CEO 브리핑
20190530

2016년부터 스마트시티(Smart City) 프로젝트를 자체 가동해온 대구시가 타 지자체와의 치열한 경쟁구도 속에서도 확고한 경쟁력을 가지려면 문제해결중심에 특화된 ‘혁신체계 구축형 스마트시티’ 조성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표적 활용사례로는 스마트 건물관리, 미세먼지 안전 리빙랩(Living Lab: 시민참여형 생활실험실)·스마트 파킹(가용 주차공간 정보제공) 등이 거론됐다. 스마트시티는 사물인터넷(IoT) 등 각종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 시민의 삶의 질 개선 및 도시의 지속가능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도시를 말한다.

“2016년 전국 첫 전담조직 신설
위상 높지만 차별화에는 부족
건물관리·누수 모니터링 등의
실생활 도움주는 기술 바람직”


대구경북연구원 권용석 연구위원은 29일 발표한 ‘CEO브리핑’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조언했다.

권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대구는 2016년 1월 전국 최초로 스마트시티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관련 조례도 제정했다”면서 “그 일환으로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의 스마트공원화, 상수도 원격검침서비스, 스마트 수목원, 스마트그리드(차세대 지능형 전력망) 확산사업을 추진해왔다”고 운을 뗐다. 이어 △스마트시티(수성알파시티 중심) 실증도시 선정(2022년 완료·614억원) △5세대이동통신기반 스마트시티 서비스개발 및 실증공모선정(2020년 완료·388억원) △지능형 교통체계(C-ITS) 자율주행서비스 실증공모 선정(2020년 완료·544억원)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경북대 혁신타운) 시범사업(2023년 완료·360억원) 선정 등 전국적으로 높은 위상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교통·안전·도시행정분야에 주력하는 ‘대구형 스마트시티’는 타 지역의 사업과 유사하게 새 성장동력을 모색하기 위한 ‘테스트베드’ 성격을 띠고 있어 확실한 차별화가 되진 않고 있다고 했다.

추진방식상의 한계도 함께 지적했다. 사업초기 단계에 있어 대구는 자체 사업을 추진하다 실증도시사업에 선정된 반면, 부산(워터시티)과 세종(에너지)은 국가시범도시로 선정됐다. 이에 사업대상 면적 등 규모면에서 대구 스마트시티사업은 이들 두 도시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것.

덧붙여 국내 도시의 성장단계가 성숙·쇠퇴기에 접어들어 정부의 스마트시티 사업방향이 신도시보다는 기존 도시를 대상으로 한 ‘지속가능성 향상’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높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대구가 정부 정책변화방향에 맞게 기존 도시관리에 초점을 맞춰 선제적 대응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같은 정책방향성을 담을 사업유형으로는 지역사회 현안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기존 각종 선정사업도 연계, 포괄할 수 있는‘민관 협업을 근간으로 한 혁신체계 구축형’을 제시했다.

세부사업으론 건물붕괴위험으로부터 시민안전을 꾀할 수 있는 ‘스마트 건물관리’, 상하수도 노후로 인한 누수현상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워터 그리드’, 시민이 주도해 환경문제 해결점을 찾는 ‘미세먼지 안전 리빙랩’ 추진 등을 손꼽았다.

권 연구위원은 “대구형 스마트시티 사업은 도시재생 및 노후산업단지 재생과 연관되고 시민의 실생활향상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전개돼야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수경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