③ ‘짧은 기간 동안 비무장 군중을 향한 일본 경찰의 무차별 사격은 빈번했다’

  • 박진관
  • |
  • 입력 2015-10-02   |  발행일 2015-10-02 제34면   |  수정 2015-10-02
(1919년 대구3·8만세운동 즈음)
■ 헨리 먼로 브루엔 선교사의 일기·편지‘한국생활 40년’완역
20151002
계성학교 아담스관. 이곳에서 계성학교 교사와 학생이 3·8대구만세운동 격문을 등사했다.
20151002
브루엔이 타고 다니던 자전거. ‘안경말’ 또는 ‘비거(飛車)’라고 불렸다.
20151002
브루엔이 말을 타고 선교여행을 떠나기에 앞서 그의 부인 부마테와 사진을 찍었다.



브루엔이 쓴 일기와 편지글, 보고서에는 한일늑약(1905)과 한일병탄(1910)에 관한 이야기를 찾을 수 없다. 당시에 쓴 기록은 주로 선교업무와 관련된 내용이 많아 생략한다. 브루엔은 3·8대구독립만세운동과 관련해 비교적 소상하게 기록했다.

예배의 찬송가로
‘만세반석 열리니’를 골랐다
소절마다 “만세” 소리
사람들은 목청껏 불렀다

◆1919년 3·8대구독립만세운동 당시 브루엔

“이날 오전 김천역에 도착했다. 그곳엔 총으로 무장한 헌병대와 두려움에 떨며 조용히 앉아있는 한국인으로 가득 차 있었다. 어느 누구도 시위를 하거나 항의하지 않았지만 이는 보통 기차역에서 느낄 수 있는 왁지지껄한 분위기와 대조됐다. 마침 내가 아는 한 한국인이 다가와 나를 쳐다보며 관심이 없는 것처럼 ‘목사님, 아무 것도 묻지 않으면 잘 될 겁니다’라고 했다. 그때 한 일본군 장교가 ‘만세를 외치는 사람을 보면 즉시 사살하라’고 소리치는 것을 들었다. ‘만세’라고 하는 것은 1만년의 세월을 의미하지만 한국인은 자신의 오랜 역사에 근거한 애국 슬로건으로 사용한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국제연맹이 태동될 무렵 미국의 윌슨 대통령은 약소국가가 독립을 선언할 권리가 있다고 했다. 한국인이 벌인 평화운동은 한국이라는 작은 나라가 일본의 지배하에 있다는 사실을 세계 만방에 알리고자 하는 목적이었다. 나는 기차를 타고 제 시간에 맞춰 대구에 도착했다.(중략)

나는 독립운동 때문에 세 사람의 조사(助事·목사를 도와 전도하는 교직), 한 사람의 전도사 그리고 여러 영수들을 모두 감옥에 빼앗겼다. 영수 한 사람은 매우 혹독하게 매를 맞았으며 한 사람은 피신 중이다. 안타까운 일은 남산교회 장로 아들(김용해)이 구속돼 심한 고문을 받아 풀려났지만 후유증을 견디다 못해 죽은 것이다. 그런데 그 아버지(김태련)는 이 사실도 모른 채 여전히 감옥에 있다. 문제가 일어나자 헌병대장을 찾아가 고문과 잔혹한 처사에 대해 강하게 항의했다. 그는 매우 공손하게 대응을 했고 조사를 해보겠다며 설득을 했다. 그러나 짧은 기간 동안 비무장 군중을 향한 무분별한 사격은 빈번했다. 하루는 30명 정도 되는 경찰과 헌병이 우리 집을 수색해 불편을 겪었다. 내가 만세운동에 동조하도록 사주를 했다는 혐의가 있다면서 교인을 만나지 못하게 했다.

오늘 사건(3월8일 토요일 대구만세운동) 때문에 대구 시내 모든 교회 목사들이 감옥에 붙들려 갔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다음 날 설교를 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내가 상담할 수 있는 비서와 다른 이의 빈자리가 유난히 허전해 보였다. 본문과 찬송가를 선택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도 알았다. 손에 한국어 찬송가가 없어 영어 찬송가를 뒤졌다. 신도들에게 익숙한 찬송을 염두에 두었고 시련과 곤궁에 빠졌을 때 그들을 도울 선물이 되길 바라면서 ‘믿는 사람들은 군병 같으니’가 떠올랐으나 적절하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다른 이들을 생각하며 다시 찬송가를 뒤져 ‘만세반석 열리니’를 선곡했다. 이것이 훨씬 위안이 되고 어떤 사람의 기분도 상하게 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음 날 아침 예상한 대로 목사와 다른 지도자는 없었다. 나는 이 교회의 설립자이고 선교목사였기 때문에 예배를 이끄는 것은 특별한 일이 아니었으며 신도들은 나를 환영했다. 그런데 내가 첫 번째 찬송가의 장을 말했을 때 사람들은 경악한 모습이었다. 노래의 첫 단어가 ‘만세’였으니 얼마나 놀랐겠는가. 그건 내가 이틀 전 김천역에서 들었던, 만세를 외치는 사람은 모두 죽여버리라는 협박을 들었을 때의 그 단어였다. 하지만 다른 찬송으로 바꿀 수 없었다. 우리는 계속 진행했다. 첫 번째 소절에선 ‘만세’의 반응이 매우 약했다. 한 소절을 생략해도 된다고 생각했지만 ‘만세’는 계속 반복됐고 사람들은 더 목청껏 크게 불렀다. 그 다음 일이 어떻게 될 것이란 두려움은 사라졌다. 나는 일본경찰과 맞닥뜨릴 것을 예상했고 이것이 의도된 저항이 아니란 사실을 어떤 관리에게도 설득시킬 수 없을 것 같았다. 훗날 일본경찰은 그 자리에 없었다는 것을 알았다. 모든 경찰은 다른 곳에 동원됐으며 교회예배에까지 찾아올 인력이 없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글=박진관기자 pajika@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위클리포유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