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전 밀집한 경북, 强震 대비책 서둘러야

  • 인터넷뉴스부
  • |
  • 입력 2019-07-23   |  발행일 2019-07-23 제31면   |  수정 2019-07-23

21일 오전 11시4분쯤 상주시 북북서쪽 11㎞ 지점에서 규모 3.9의 지진이 발생했다. 상주지역에선 1978년 규모 5.2 강진 후 41년 만의 큰 지진이며, 올해 한반도에서 일어난 지진 중 셋째 규모다. 우리가 주목하는 대목은 상주 지진으로 경북의 지진 빈발 현상이 다시금 확인됐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 5년간 한반도에서 일어난 지진 684건 중 391건이 경북에서 발생했다. 무려 57.1%다. 규모 5.0 이상의 강진도 경북에 집중됐다. 2015년 경주에서 규모 5.8, 2017년 포항에서 규모 5.4의 강진이 발생했다. 경북지역이 ‘한반도판 불의 고리’란 얘기가 그래서 나온다.

경북의 지진 빈발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이유는 원전 밀집지역인데다 활성단층 지대가 많기 때문이다. 2017년 포항 지진도 양산단층에서 발생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양산단층과 양산단층대에 속하는 일광단층·울산단층을 전부 활성단층으로 분류했다. 하지만 아직 국가 차원의 단층지도는 없다. 현재로선 전국에 450여개의 활성단층이 있다고 추정할 뿐, 단층의 위치나 지질 등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2015년 경주 지진 발생 후 25년간 525억원을 투입해 한반도 단층지도를 제작하기로 했다. 올들어 당초 계획보다 단층지도 완성 기간을 5년 앞당기겠다고 밝혔지만 속도가 너무 느리다. 쥐꼬리 예산에다 전문 인력도 턱없이 부족하다. 산과 들의 땅을 파고 지층의 연대를 분석해야 하는 어려움을 감안하더라도 지금처럼 더디게 진행돼선 곤란하다. 우선은 원전 밀집지역인 경북의 활성단층 지도 제작에 집중하는 게 바람직하다.

경북은 가동 중인 국내 원전의 절반이 몰려있는 곳이다. 원전이 규모 6.5 또는 7.0의 강진에 견딜 수 있게 내진 설계됐다고는 하나 경북에서 7.0 이상의 강진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다. 더욱이 현재로선 원전 부지 밑에서 활성단층이 발견되더라도 원전가동을 영구 정지하거나 건설을 중단할 법적 근거도 없다. 이러고서야 원전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는 경북도의 경주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 요청을 거부했다. 경주는 규모 5.8의 강진이 발생한데다 월성 1·2·3·4호기, 신월성 1·2호기, 중저준위 방폐장이 들어서있고 경북 동해안은 활성단층 지대가 많은 곳이다. 단층 조사와 지진에 대비한 원전 안전을 위해서도 지진방재연구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