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박해진 대구경북 하늘길 <끝>] 대구공항, 민간전용공항으로 거듭나야

  • 박광일,이현덕,최은지
  • |
  • 입력 2016-06-30 07:12  |  수정 2016-06-30 09:06  |  발행일 2016-06-30 제3면
이용객 年50만명 증가 “조만간 포화”…K2와 분리해야 확장 가능
20160630
K2공군기지가 위치한 대구시 동구 도심 위를 전투기가 비행하고 있다. 사진=이현덕기자, 그래픽=최은지기자


정부의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 및 김해공항 확장 결정에 따라 대구공항의 존치가 확정됐다. 신공항 입지 선정 용역을 맡은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은 장래 영남권 항공수요 중 일정 부분을 대구공항이 맡아야 한다고 했다. 매년 이용객이 50만명씩 증가하는 추세에 비춰 조만간 대구공항도 포화상태에 이를 전망이다. 확장이 필수적인 것이다. 그러나 대구공항 확장에는 한 가지 큰 걸림돌이 있다. 바로 K2 공군기지. 지금처럼 K2와 활주로를 같이 쓸 경우 여러 제약이 많아 확장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대구공항이 지역의 관문 역할을 제대로 하려면 장기적으로 K2와 분리해 민간전용공항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 확장의 문제점
주기장 9면이 돼도 여전히 부족
규모 큰 항공기 띄우려고 해도
군시설물 때문 유도로 확대 난관

■ K2와 분리방안
‘기부 대 양여’현실적으로 불가능
특별법 만들어 K2만 옮기거나
11전투비행단이라도 이전해야

◆확장 어려운 대구공항

대구공항의 활주로는 2천700m급 2본으로 항공기 처리능력은 연간 14만회에 달한다. 그러나 현재는 이의 10분의 1 수준인 연간 1만4천회(10.3%)밖에 항공기를 띄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주기장 용량. 대구공항의 주기장은 현재 6면이다. 통상 주기장 면수는 1시간에 띄울 수 있는 비행기 대수를 뜻한다. 대구공항의 커퓨타임(운항제한시간) 5시간을 고려하면 연간 최대 4만회밖에 처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활주로 용량에 비해 주기장 용량이 턱없이 부족한 셈이다. 내년부터 주기장을 9면으로 늘릴 계획이지만, 이마저도 넉넉하다고 볼 수 없다.

이처럼 주기장 확장이 어려운 것은 군공항과 함께 부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공항 전체 부지는 660만㎡(200만평)이지만, 민항 부문은 17만㎡(5만평)에 불과하다. 때문에 더는 주기장을 늘리지 못하는 상황이다.

문제는 또 있다. 대구공항은 활주로 길이상 B767 등 최대 D급(200석 이상~300석 미만) 항공기를 띄울 수 있지만, 유도로 폭이 45m로 좁아 실제로는 B737 등 C급(100석 이상~200석 미만) 항공기밖에 취항하지 못하고 있다. 유도로 주변에 군 시설물이 많아 확장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기적으로 대구공항을 K2와 분리해야 하는 이유다.

◆K2 공군기지 분리 방안은

K2는 ‘군공항 이전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맞바꾸기) 방식으로 이전이 추진되고 있었다. 그러나 대구공항 존치가 결정되면서 이 방식의 K2 이전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현재의 K2 부지를 개발해 발생한 이익으로 새 이전지에 기지를 건설해야 하는데, 대구공항이 남게 되면 개발이 어렵기 때문이다.

K2와 대구공항을 함께 이전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지만, 그럴 경우 전국 유일의 ‘도심공항 프리미엄’을 누릴 수 없는 데다 지금과 마찬가지로 확장에 한계가 있다. 결국 대구공항과 K2는 분리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는 시각이 많다.

K2 분리·이전에는 여러가지 방안이 구상되고 있다. 이 중 하나가 특별법을 개정해 정부 재정사업으로 민항을 그대로 두고 K2만 고스란히 이전하는 방안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 이전에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고, 다른 시·도와 형평성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K2 가운데 제11전투비행단만 옮기는 방안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K를 운용하는 11전비만 이전하면 주민 소음피해는 물론 정부의 이전비용 부담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 항공 전문가는 “지금의 민·군 겸용공항 형태로는 분명 대구공항 활성화에 한계가 있다”며 “정부와 대구시가 K2 이전과 대구공항 확장에 어떤 방안이 가장 효과적일지 신중히 고민하고,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광일기자 park8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