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공항 내년이면 포화, 단기 대책은 있나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7-09-28   |  발행일 2017-09-28 제31면   |  수정 2017-09-28

대구공항의 항공수요 증가가 폭발적이다. 지난 25일 기준 올해 대구공항 이용객은 총 254만2천398명으로, 지난해의 253만3천132명을 넘어섰다. 올 연말까진 350만명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국제선 이용객 증가세가 가파르다. 국내선 이용객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5% 늘어난 데 비해 국제선은 131.8% 급증했다. 대구공항의 국제선 여객 비중도 2009년 8.9%에서 올해 40.6%로 높아졌다. 국제공항으로서의 가능성과 대구·경북의 잠재적인 항공수요가 확인된 셈이다.

문제는 대구공항의 수용능력(375만명)이 내년이면 한계에 이른다는 점이다. 그런데도 대구시의 대책은 주기장을 7개에서 9개로 확충한다는 게 고작이다. 수용능력을 늘릴 획기적 해법이 없으면 대구공항 이용객이 인천공항이나 김해공항으로 발길을 돌리는 건 정해진 수순이다. 민항·K2 통합공항 건설이 계획대로 진척된다 하더라도 2025년 이후에야 개항이 가능하다. 통합공항 개항 때까지 대구공항의 수용능력을 극대화할 단기 대책이 필요한 이유다.

통합공항 이전이 당초 일정대로 추진될지도 의문이다. 지난 2월 군위 소보와 의성 비안·군위 우보 예비 후보지 두 곳을 선정한 이후엔 사실상 표류 상태다. 부지선정위원회도 언제 개최될지 미정이다. 10월 말이나 11월에 열릴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더욱이 문재인정부는 ‘지역사회 합의’를 통합공항 이전의 전제 조건으로 걸었다. 하지만 대구에선 ‘대구공항 존치’ 여론이 숙지지 않고 있고, 이전 예비 후보지에서도 찬반 의견이 엇갈린다. 2026년 개항을 목표로 확장 프로젝트가 착착 진행 중인 김해공항과 대비된다.

대구통합공항의 접근성 확보에 반드시 필요한 연결 도로·철도망이 구축될지도 미지수다. SOC 예산을 최대한 절감하겠다는 문재인정부에서 5조원에 달하는 사업비를 국비로 지원받는 건 불가능한 미션에 가깝다.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조달하는 통합공항 이전 사업비가 부족할 경우의 대비책도 눈에 띄지 않는다.

이런 가운데 대구지역 32개 시민사회단체는 26일 ‘대구공항 활성화를 위한 시민토론회’를 갖고 통합공항 이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정부의 비협조, 지역여론 분열 등 통합공항 이전 사업이 총체적 딜레마에 빠진 형국이다. 대구시는 통합공항의 면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대구공항 포화 대책도 밝혀야 할 것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